친명·친문 계파 뚜렷한 당 특성에 혼전세 예상
막내린 '97그룹', 세대교체 바람 못일으켜
친명, 2·3위 누가될지 촉각...선호후보 있기도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이재명 의원, 강병원 의원, 박용진 의원, 이동학 전 최고위원, 설훈 의원, 김민석 의원, 박주민 의원, 강훈식 의원. 시사포커스DB
(왼쪽부터 시계방향으로) 더불어민주당 차기 당대표 선거에 출마한 이재명 의원, 강병원 의원, 박용진 의원, 이동학 전 최고위원, 설훈 의원, 김민석 의원, 박주민 의원, 강훈식 의원.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더불어민주당 8·28 전당대회 예비경선(컷오프) 결과를 앞두고 있는 가운데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 기류가 확실시되는 분위기 속에서 최대 관전 포인트는 이재명 의원을 제외한 '2위'와 '3위'의 당대표 후보가 누가 될 것인지를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민주당 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국회 의원회관 대회의실에서 전대 컷오프 결과가 발표될 예정인데, 다만 당대표 예비후보들이 자신의 정치적 득실 계산으로 인해 '각자도생'하는 분위기로 흘러 가면서 그간 관심이 모아졌던 '반명연대'(반이재명연대)가 흐지부지되는 상황이 되어 사실상 '깜깜이 선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더욱이 초반에 '어대명'의 대항마로 '세대교체론'을 띄우며 등장했던 '97그룹'(1990년대학번, 1970년대출생)도 선제적인 후보 단일화 전략으로 합심하여 이 의원을 견제하여 당내 세대교체 바람을 불러 일으킬 것이라고 군불떼기를 하는 듯 보였지만, 친명으로 분류되는 박주민 의원과 '비명계'(비이재명계)의 강훈식 의원의 '본선 전 선제적 단일화 선언'에 대한 비토로 인해 사실상 막을 내렸다.

심지어 '97그룹' 후보들은 당대표 도전의 명분이 초반에는 '반명' 구도에서 출발을 했지만, 시간이 갈수록 말이 바뀌어 '반명으로 이길수 없다'는 목소리를 내면서 강한 리더십도 보여주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움츠려드는 모습으로 내비치면서 되려 '어대명' 기류를 확신케 했다는 평가의 목소리도 솔솔 나오는 상황이다.

이에 '친문'(친문재인) 등 비명계에서는 차라리 '어대명'을 막기 위한 방편으로 '폭주하는 기관차를 세우기 위해 철길에 뛰어 들겠다'고 외치고 나선 설훈 의원에게 힘이 실릴 가능성도 있다고 보는 분석도 감지되면서 사실상 '2위'와 '3위' 자리를 놓고 뒤죽박죽 혼전세 양상이 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다.

그러면서도 여론조사상이나 인지도 측면에서 '대선후보'로 나섰던 경험이 있는 중도 성향의 박용진 의원이 그나마 '2위' 자리로 오를 것이라는 예측도 다수 나왔지만, 민주당 전대 룰 특성상 중앙위원회 위원의 투표가 70%를 차지하는 상황이기에 그들의 지지세를 누가 더 많이 받느냐에 운명이 달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후보들이 당내 기반을 얼마만큼 잘 다져 놓았는지가 선거 변수라는 얘기이며, 이에 더해 당내 분위기상 '친명'과 '친문'의 계파 색이 확연하게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점도 컷오프에 영향을 크게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반면 '친명계' 의원들 사이에서는 '반명연대'의 후보 단일화에 대해 촉각을 세우면서 '후보 단일화 움직임'에 대해 비판 발언을 쏟아 내면서 맞대응을 펼치기도 했으나, 결과적으로 '반명연대'가 후보들의 이해관계 충돌로 인해 파열음을 보이자 크게 한숨을 돌린 듯한 여유로운 모습을 엿보였다.

다만 친명계에서는 '2위'와 '3위'의 후보에 누가 될 것인가에 대한 관심도 높아 보였는데, 이는 본선에 오른 후보들이 '반명' 구도로 이 의원의 사법리스크 공격 등 흠집내기할 가능성이 높은 후보군을 꺼리는 듯 했다. 즉, 설훈 의원과 박용진 의원 등의 공격수 보다는 이 의원에게 유한 분위기의 박주민 의원이나 비교적 이 의원의 약점 공격이 덜한 강훈식 의원 등이 되기를 바라는 눈치였다.

또한 이들은 최고위원 선거에 대해서도 박찬대, 서영교, 양이원영, 이수진(서울 동작을), 장경태, 정청래 등 '친명'으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후보가 되길 간절히 원하는 듯해 보였다.

그러나 어대명 전대가 확실시 되면서 민주당 전대에 대한 관심도는 낮아져 흥행으로 이끌지는 못한 양상이었지만 그래도 이 의원을 둘러싼 사법리스크가 살아 있는 변수로 작용되고 있는 상황이기에 '어대명 전대'의 반전 가능성에 정치권은 촉각을 세우며 어떤 후보가 과연 컷오프를 통과할지 눈여겨 보는 상황이기도 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