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훈식 “욕을 하자는 문제는 다른 문제”…조응천 “李, 발언 취지 왜곡한다고 변명해”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저학력·저소득층이 국민의힘을 지지한다’거나 ‘온라인 플랫폼을 둬 욕하고 싶은 의원 비난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주장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최근 발언에 대해 이 의원 본인의 해명에도 불구하고 당내에서 강도 높게 비판하는 목소리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
앞서 지난달 30일 이 의원은 자신의 핵심 혁신안인 ‘당내 민주주의·소통 강화’를 설명하다가 ‘국회의원을 욕할 수 있는 온라인 플랫폼 구축’을 예로 들었는데, 이에 대한 비판적 발언이 쏟아지자 이 의원은 1일 “발언 일부를 가지고 취지를 왜곡하고 침소봉대해 말하기가 불편하고 힘들다”고 토로했다.
하지만 당권경쟁자인 박용진 의원은 지난 1일 밤 TBS교통방송 ‘신장식의 신장개업’에 출연해 “이 의원 측의 해명은 늘 똑같다. 발언 취지를 왜곡했다. 언론 탓이다. 이렇게만 얘기할 게 아니라 그런 비판받아 마땅한 말씀을 안 하는 게 맞다”고 이 의원을 직격했으며 또 다른 당권주자인 강훈식 의원도 2일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당내 민주주의를 퇴행시키는 문제다. 저도 온라인 민주당을 개설해 당원들 누구나 자신들의 의견을 표출하고 그런 의견들을 담고 게시판, 커뮤니티도 만들자는 공약이 있지만 욕을 하자는 문제는 좀 다른 문제”라고 한 목소리로 이 의원을 꼬집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강 의원은 이 의원의 ‘저학력·저소득층이 국민의힘을 지지한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전후 맥락이 어쨌든 간에 충분히 오해의 소지가 있는 발언이었다. 과거에 윤석열 대통령이 가난하고 못 배운 사람은 자유가 뭔지 모른다, 이런 발언을 한 번 해서 대선 기간에 시끄러웠던 적이 있었다”며 “팩트냐 아니냐 문제가 아니라 이분법적인 인식을 공개적으로 드러낸 것은 문제가 있다. 우리 당 안에서마저 이분법적 착오로 지지층을 갈라서 보는 관점을 저는 굉장히 경계해야 할 일이라고 생각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그는 “더 큰 아쉬운 점은 그 책임을 언론 탓했다는 것도 짚어봐야 할 문제점”이라고 이 의원을 직격했는데, 같은 당 조응천 의원은 아예 같은 날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나와 이 의원을 겨냥 “최근 들어 1일 1실언을 하는 것 같다. 그런데도 이를 언론이나 상대방이 지적하면 거두절미하고 ‘발언 취지를 왜곡한다’, 이렇게 변명한다”며 “일단 말해놓고 또 취지를 왜곡한다고 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 매번 언론과 상대방이 그 발언을 왜곡한다면, 저 같으면 내가 어떤 빌미를 줬을지 되돌아봤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특히 조 의원은 소위 ‘의원 욕하는 온라인 플랫폼’과 관련 “저는 ‘욕하는 온라인 플랫폼’에 대해 SNS에서 (비판조의) 이야기를 했는데, 이것도 (이 의원 쪽은) ‘욕하는 것이라고 안 했다’고 한다. 제가 듣기로는 분명히 ‘욕하게 하자’ 이렇게 들었다”고 꼬집은 데 이어 “어쨌든 ‘욕’이 제 머리에 꽂혔는데 그 말을 듣고 한동안 멍했다. 저야 문자폭탄 맞아도 제 휴대폰 안에 남아있는 것이니 묵묵히 견디면 되는데 맨날 온라인 플랫폼에서 올라오면 제 휴대폰의 메시지함이 강제 오픈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라고 이 의원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그러면서 조 의원은 “아무리 공인이지만 저도 명예, 감정이라는 게 있다. 결국 지금처럼 소셜 미디어, 유튜브 민주주의 쪽으로 빠지다보면 중우정치로 악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하는 한편 당권경쟁 판세와 관련해서도 “지난주에 있었던 예비경선 컷오프 결과를 본 분의 얘기를 들었는데 1위와 2위의 표 차이가 별로 없었다고 한다. 물론 중앙위원회에 한정된 것이지만 당심은 그렇게 이 의원이 압도적인 것은 아닌 것으로 보인다”고 이 의원에 견제구를 던지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