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대비하는 산업부가 돼야...기업들의 미래 안심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취임 첫 일성으로 기업에 비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 ⓒ뉴시스DB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6일 취임 첫 일성으로 기업에 비전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 ⓒ뉴시스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산업부 직원들에게 ‘우리 기업과 산업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깊이 고민해봤으면 한다’고 했다.

6일 문승욱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취임 첫날 직원들에게 메일을 통해  “여러분의 도움으로 인사청문회를 무사히 마치고, 제 공직생활의 고향인 산업통상자원부로 2년 9개월 만에 다시 돌아왔다”고 했다.

이어 “코로나19로 경제 상황이 어려운 가운데 있지만 지난달 수출이 6개월 연속 플러스를 기록하는 등 경제지표에 회복의 조짐이 보여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하며 최근 우리 경제는 코로나19 충격에 이어 안팎으로 커다란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내적으로는 탄소중립 실현, 디지털 전환과 같은 산업구조를 근본적으로 개편해 나가는 과제를 안고 있고, 대외적으로는 美中 갈등 확산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통상환경 변화 속에서 전략적 선택의 기로에 서 있고, 기업들은 코로나19와 미래 불확실성이라는 이중고를 겪으며 그 어느 때 보다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다”고도 했다.

또 “이럴 때일수록 우리 기업과 산업에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미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지 깊이 고민해봤으면 하는데 우선 지역경제 발전을 위해 제대로 함께 하는 산업부가 되었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기업에게 비전을 제시하는 산업부가 되자”는 문 장관은 “비전을 가지고 전진하는 기업에 변화를 이끌 우수 인재는 따라가게 마련이고 우리의 정책과 사업이 기업에게 비전을 제시하고 핵심인재가 모여 미래를 만들어 가는 선순환을 만들어 가도록 세심하게 준비하자”고 했다.

더불어 “미래에 대비하는 산업부가 되어야 하고, 탄소중립과 에너지 전환에 따른 산업구조 혁신, 시스템 반도체·미래차·바이오 등 新성장산업의 경쟁력 확보,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디지털·친환경 통상규범 대응까지 우리 앞에 놓인 사안들은 모두 쉽지 않은 과제들로 선제적 기술혁신과 인재양성을 통해 민관이 힘을 합쳐 준비해 나간다면 우리 기업에게 미래에 대한 안심을 드릴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