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때도 지금처럼 金 이슈가 국민 불만 1순위면 민주당 떠난 민심이 우리에게 오지 않아”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23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범죄혐의에 대한 재판 결과가 11월 15일부터 나오는데 그때 우리는 김건희 여사와 관련한 국민의 요구를 해소한 상태여야만 한다”고 주장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확대당직자 회의에서 “급변하는 정세에 대응하려면 정부여당의 무게중심이 잡혀 있어야 하고 민심의 신뢰를 받아야 한다. 그러려면 지금 변화하고 쇄신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민주당은 더 폭주하고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방식으로 민심에 반하는 모습을 할 것이다. 그때도 지금처럼 김 여사 관련 이슈가 모든 국민이 모이면 얘기하는 불만의 1순위라면 민주당을 떠난 민심이 우리에게 오지 않는다”며 “그건 우리 당의 전략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의 불행”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는 “왜냐하면 우리는 대한민국을 지키고, 발전시키고 국민의 삶을 나아지게 하려는 선의를 가진 정치세력이기 때문”이라며 “공포는 반응이고, 용기는 결심이다. 변화와 쇄신을 결심하자. 지금 변화·쇄신하지 못하면 민주당 정권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는 “우리는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국민들에게 여러 번 약속했다”며 “민주당에 강력히 요청한다. 북한 인권재단 이사를 추천해달라”고 촉구했는데, 다만 “특별감찰관 추천에 북한 인권재단 이사 추천이 전제조건이라는 것은 지금 상황에선 국민 공감을 받기 어렵다”고도 말했다.
그러면서 한 대표는 “우리는 민주당에 북한 인권재단 이사 추천을 강력히 요구하고 결국 관철시킬 것이다. 그러나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그 이후로 미루지는 않겠다”며 “민주당이 아니라 국민과의 약속 문제이기 때문이다. 대통령께서도 면담 과정에서 특별감찰관 추천 절차를 실질적으로 진행하겠다고 했다”고 밝혔다.
다만 이 자리에서 같은 당 추경호 원내대표는 당내 결속에 보다 방점을 둬 한 대표와는 온도차가 있었는데, “11월 15일 이 대표의 공직선거법 위반, 25일에는 위증교사죄에 대한 1심 판결이 다가올수록 민주당의 조직적 저항이 거세지고 있다. 국회 내에서는 이재명은 무죄라는 내용의 토론회를 자주 열고 국회 밖으로 나가서 롱패딩 장외투쟁을 한다고 한다”며 “사법부를 정치적으로 압박하려 드는 것이고 윤석열 정권에 대한 탄핵선동으로 나아가고 있다. 당 지도부도 엄중하게 바라보고 있고 당 차원에서도 강력 대응해 나가겠다”고 천명했다.
한 발 더 나아가 추 원내대표는 “당원들에게도 지금 야당이 벌이고 있는 이재명 방탄용 퇴진운동의 본질을 정확하고 적극적으로 알려 달라”며 “절대로 정권 흔들기, 민주당의 술책에 흔들림 없이 강력히 맞서 싸워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관련기사
- 이재명 집권플랜본부 본격 가동, 김민석 “정권 교체 공사 시작해”
- 서울중앙지검장 “김건희 여사 수사 결과, 대통령실 외압 없었다”
- 김종혁 “김건희 여사 라인 부정은 손바닥으로 하늘 가리는 것”
- ‘친윤’ 권성동, 한동훈 ‘특별감찰관’ 추진에···“일방적, 독단 정치”
- 정성호 “김부겸·김동연·김경수, 이재명 대안 될 가능성 없다” 단언
- 한동훈 “국민 우려에 해결책 관철해야…중단 없는 쇄신 이끌 것”
- ‘이재명 대항마’ 김동연-김경수 ‘독일 회동’ 시선집중, 친명 반응은?
- 한동훈 “이재명 선고 앞두고 판사 겁박한 민주당, 정치 아니라 범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