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신감 충만한 홍준표 "가장 혐오하는 부류는 배신자들"
"배신자 프레임, 정치판에서 살아남기 어렵다"
"윤석열 내리막...재도약할 기폭제 없다"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좌)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우). 사진 / 시사신문DB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좌)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우).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최근 여론조사에서 상승세를 타기 시작한 국민의힘 대선주자로 나선 홍준표 의원이 27일 선두를 달리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을 향해 '배신자 프레임' 공격을 감행하고 나섰다.

홍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살아오면서 제가 가장 혐오하는 부류는 배신자들"이라면서 "한번 배신해본 사람은 언제나 또 배신한다. 배신은 배신을 낳고 종국에 가서는 파멸을 부른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치적 소신을 갖고 뜻이 달라 갈라 서는 것은 언제나 존중해 왔지만, 눈앞에 작은 이익을 두고 거기에 혹해서 바람앞에 수양버들처럼 흔들리며 믿음을 배신하는 것은 용서하기 어려운 몰염치"라면서 "누구던지 배신자 프레임에 걸려 들면 한국 정치판에서는 살아 남기가 어렵다"고 부연했다.

일각에서는 홍 의원의 이같은 발언이 문재인 정부에서 검찰총장과 감사원장을 역임한 윤석열·최재형 예비후보를 향한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라고 보면서도 사실상 윤 후보를 겨냥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즉, 최근 홍 의원이 여론조사에서 상승세를 타면서 범보수권에서 '양강 구도'를 엿볼 수 있는 한자릿수 격차로까지 좁혔기에 이제 선두주자인 윤 후보만 잡으면 역전할 수 있는 상황이기에 당의 우려에도 불구하고 그는 꾸준히 '윤석열 때리기'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 왔었다.

더욱이 홍 의원은 전날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윤 예비후보를 향해 "재도약할 기폭제가 없다"고 평가절하하며 "내가 이길 것"이라고 자부했다.그러면서 그는 "지금은 당이 온전하게 복원이 됐다"며 "(내가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되면) 대통령에 당선될 자신이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이어 홍 의원은 "26년 동안 모든 선거를 다해봤다"면서 "지지율이 오르는 사람과 내려가는 사람이 붙으면 오르는 사람이 이긴다"고 강조하면서 윤 전 총장에게 도전장을 내미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지난 탄핵 때는 우리당 지지율이 4%밖에 안됐다"면서 "(그 당시) 당도 포기했고 선거운동도 하지 않은 상황이었는데, 홍준표가 원맨쇼로 24% (지지율)을 만들었다"고 덧붙였다.

특히 홍 의원은 외연 확장을 노리며 전북지역의 도민들을 향해 "여야 대권 후보 가운데 전북도민이었던 사람은 정세균과 홍준표 뿐"이라며 "당은 미워도 홍준표는 미워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했다.

심지어 그는 지난 25일에도 CBS라디오에서 "(경선이 시작되어) 토론을 하고 나면 추석 민심이라는 게 있다"며 "추석 전후 '골든크로스'를 이룰 것"이라고 강한 자신감을 내비친 바 있다.

한편 전날 발표된 여론조사전문회사인 알앤써치가 매일경제과 MBN의 의뢰로 지난 23~25일 전국 만 18세 이상의 성인 1114명을 대상으로 한 범야권 대선후보 적합도 여론조사 결과(조사방법은 무선 ARS 10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9%,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 따르면, 윤석열 예비후보가 28.6%로 가장 많은 지지율을 받았으며, 이어 홍준표 예비후보가 20.9%를 받아 7.7%p의 격차로 좁혀지면서 연속 한 자릿수 격차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 밖에 후보들은 모두 10% 이하의 지지율(▲유승민 9.3% ▲심상정 5.5% ▲최재형 4.1% ▲안철수 2.8% 순)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한국사회여론연구소(KSOI)가 TBS의 의뢰로 지난 20~21일 전국 만 18세 이상의 성인 1007명을 대상으로 한 범보수권 대선후보 적합도 여론조사(조사방법은 무선 ARS 100%,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에서도 ▲윤석열(28.4%) ▲홍준표(20.5%) ▲유승민(10.3%) ▲최재형(5.9%) ▲안철수(3.4%) 순으로 기록되면서, 윤석열-홍준표 예비후보의 격차는 7.9%p 차이를 보였었다. 

다만 홍 의원의 지지율 상승 현상에 대해 일각에서의 해석은 '역선택'과 '외연확장성'을 두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지만 대체적인 시각은 홍 의원의 상승세는 분명하다고 인정하는 눈치로 앞으로의 홍 의원의 향방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