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경제 회복 위해 '복원력' 강화 시급...국가간 '포용력' 제고 중요"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시사신문DB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홍남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녹색·포용적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3대 협력방향을 제시했다.

2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홍 부 총리는 지난 1일 화상으로 개최된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의 최고 의사결정 회의에 참석해 이 같은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날 홍 부총리는 “최근 세계경제의 회복세를 안착시켜 나가기 위해 공급망, 다자주의, 국제적 이동 등 세 가지 차원의 ‘복원력’ 강화가 시급하다”며 “OECD 차원의 국제적 이동 이니셔티브 논의 진전, 신속·공평한 백신 보급 노력을 환영한다”고 했다.

또 “계층·국가간 격차 완화를 위한 ‘포용력’ 제고가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청년·여성 등 취약계층의 고용·주거 불균등 문제 해소와 더불어, 채무상환유예(DSSI) 및 채무재조정, 포용적 ODA 추진 등 저소득국가 지원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와 함께 코로나 위기 이후의 디지털·그린 경제로의 구조적 전환에 대비하기 위한 ‘혁신력’ 확충 필요성을 역설키도 했는데 OECD 기후행동 평가프로그램(IPAC) 이니셔티브 가글로벌 기후공조 대응에 기여할 것이라고 언급키도 했다.

또 “OECD 중심으로 논의중인 디지털세 관련, 올해 7월까지 디지털세 본래 취지에 부합하고 각국 세원잠식을 막을 수 있는 명확하고 합리적 원칙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도 했다.

이에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의장국 대표로서 앞선 개회사(영상)를 통해 “OECD가 디지털세, 데이터 거버넌스 등 중요 현안 논의를 선도하고 있음을 환영한다”며 “”규범 중심의 경제, 포용성·책임성 등 공통의 가치를 통해 글로벌 위기에 대응해 나가자”고 언급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