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강조하며 적극 美에 러브콜 보내는 文…백악관 “북한, 논의의 중심 주제 될 것”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좌)과 문재인 대통령(우). ⓒ백악관 홈페이지, 청와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좌)과 문재인 대통령(우). ⓒ백악관 홈페이지, 청와대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한미정상회담을 앞둔 문재인 대통령이 방미 기간 내내 한미동맹을 외치며 미국에 적극 밀착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은 알링턴 국립묘지를 방문해 무명용사의 묘에 헌화한 뒤 한국전쟁 참전 미군의 피복류를 활용해 만든 기념패를 기증하고 여기에 동행한 미측 인사들에게 “이렇게 피로 맺어지고 오랜 세월에 걸쳐 다져진 한미동맹을 바이든 대통령과 함께 더 강력하고 포괄적으로 발전시켜 나가겠다”는 취지로 발언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문 대통령은 워싱턴 D.C에 있는 루스벨트 기념관도 방문해 “루즈벨트 대통령은 대공황으로 가장 어려운 시기를 부흥의 시기로 이끌었는데 코로나19로 당시와 유사한 위기를 겪고 있는 상황에서 루즈벨트 대통령이 당시 진행했던 정책들을 본받아 한국판 뉴딜을 펼치고 있다”고도 역설했으며 미 하원 지도부와 간담회를 갖기 위해 미 국회의사당(의회)을 찾은 자리에선 “미 의회는 민주주의를 지지하는 인류 모두의 의회”라고 극찬을 쏟아냈다.

특히 그는 “민주주의 바탕에는 굳건한 한미동맹이 있었고 한국이 어려울 때 언제나 함께 해준 미 의회의 신뢰와 지지가 큰 힘이 됐다”고 강조한 데 이어 “한미동맹은 세계에서 가장 모범적인 동맹이고 앞으로도 함께 같은 방향으로 갈 것임을 약속한다”고 공언하는 등 사실상 이번 일정 내내 미국에 러브콜을 보내는 자세를 취했다.

임기 말로 접어든 문 대통령으로선 자칫 빠져들 수 있는 레임덕 국면을 이번 방미 외교를 통해 돌파해보겠다는 계산이 없지 않은 것으로 비쳐지고 있는데, 미측 역시 이에 화답하듯 그레고리 믹스 하원 외무위원장이 “바이든 행정부 초기에 문 대통령을 초청한 것은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다. 한미동맹이 인도·태평양 지역의 평화와 안정의 핵심축”이라고 발언했으며 앤디 김 하원의원도 “한미관계는 북한이나 중국에 대한 관계 차원이 아니라 한국 자체만으로도 미국의 매우 중요한 전략적 파트너”라고 힘주어 말했다.

심지어 백악관 역시 같은 날 젠 사키 대변인이 브리핑에서 “한국은 미국의 대단히 중요한 파트너라고 말하고 싶다”고 밝혔는데, 일단 21일(현지시간) 열릴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선 “북한이 내일 논의의 중심 주제가 될 것으로 예상한다. 기후 문제와, 한미 경제협력, 중국 문제도 대화의 일부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직 한미정상회담이 열리지는 않았지만 이미 이번 한미정상회담에선 한국의 미사일 사거리와 무게를 제한하던 미사일지침 완전해제도 논의할 것으로 전해졌으며 원전협력 역시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고 한미정상회담 공동성명엔 판문점 선언을 존중한다는 내용이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 미측은 과거와 달리 20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이 미 의회를 찾았을 때도 간담회에 앞서 미 연방하원의회 의장과 함께 인사말을 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으며 미 하원에선 같은 날 민주당 의원 4명이 한반도 평화 법안을 발의했고, 한미정상회담이 열리는 21일에는 6·25전쟁 참전용사인 랠프 퍼킷 주니어 퇴역 대령에게 미국 최고 무공훈장인 명예훈장을 바이든 대통령이 수여하는 백악관에서의 명예훈장 수여식에 문 대통령이 외국 정상으론 처음으로 참석하는 등 미국에서도 문 대통령에 각별히 신경 쓰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 우리 시간으로 22일 새벽에 열릴 회담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