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동맹 행보 나선 文, 무명용사 묘 참배부터 6·25참전용사 명예훈장 수여식도 참석키로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 취임이후 첫 대면 정상회담을 갖는다 / ⓒ청와대, 백악관
문재인 대통령이 바이든 대통령 취임이후 첫 대면 정상회담을 갖는다 / ⓒ청와대, 백악관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9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에 도착해 3박 5일간의 방미 일정에 들어간 가운데 취임 이래 처음으로 미국 버니지아 주에 있는 알링턴 국립묘지를 방문하며 미국에서의 공식 일정을 시작한다.

미국 최대의 국립묘지인 알링턴 국립묘지는 역대 미국 대통령들이 취임 후 가장 먼저 참배하는 곳으로 6·25 참전 미군 역시 안장되어 있는데 이 중 문 대통령은 무명묘사의 묘에 헌화할 것으로 알려졌으며 이는 이번 방미 일정 중 포함된 6·25참전용사에 대한 바이든 대통령의 명예훈장 수여식 참석이나 한국전 전사자 추모의 벽 착공식 참석 등과 마찬가지로 한미동맹 강화에 방점을 둔 일정으로 풀이되고 있다.

20일 오후에는 미 의회에서 낸시 펠로시 하원의장 등 미 하원 지도부와 간담회도 가질 예정인데, 문 대통령은 이 간담회에서 대북정책과 코로나19 백신 수급 등에 미 의회가 협력해줄 것을 당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다만 미 하원 외교위원회는 19일(현지시간) 문 대통령의 방미와 관련해 내놓은 결의안에서 문 대통령의 방미를 환영하면서도 ‘제5항’에 미국과 한국 정부 간 인권 증진을 위한 협력을 촉구한다는 조항을 넣어 논란이 일고 있는데, 사실상 문 정부가 고수 중인 대북전단금지법이나 문정인 전 대통령 외교안보특보가 지난 17일 이낙연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 주최 심포지엄에서 “지금 제일 걱정되는 부분은 미국이 (북한) 인권 문제를 들고 나오는 것”이라고 발언한 점 등에 대한 우려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실제로 미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문 전 특보의 발언이 나오자 17일(현지시간) 미국의소리(VOA) 방송을 통해 “미국은 외교정책의 중심에 인권을 놓는 것에 전념하고 있다. 인권 남용 문제를 지적해 나가는데 같은 생각을 가진 협력국들과 단합된 모습을 보일 것‘이라며 곧바로 반박하는 듯한 입장을 내놓은 바 있어 오는 21일(현지시간) 진행될 한미정상회담에서도 바이든 대통령이 문 대통령에게 이를 거론할 것인지 그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일단 문 대통령은 지난 19일 미국으로 출국 직전 송영길 성남 서울공항에서 ”이번 방미에서 좋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바이든 정부의 외교안보팀이 한반도를 잘 알고 있어 대화가 수월할 것“이라고 자신감을 보인 바 있어 당초 청와대 기대대로 회담 결과가 나올 수 있을 것인지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한편 문 대통령은 이번 방미에는 과거 세 차례 방미 때와 달리 김정숙 여사와 함께 하지 않았는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까지 함께 맞으며 당초 방미 일정에 동행할 것으로 관측됐음에도 불구하고 결국 문 대통령 홀로 떠난 이유에 대해 청와대 측은 코로나19 상황을 고려해 수행원을 최소화해달라는 미국의 요구의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