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우여 “특검, 여야 합의로 추진했던 게 관행”…추경호 “연금개혁, 22대 국회에서”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 훈 기자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이 훈 기자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 황우여 비상대책위원장과 추경호 원내대표가 27일 채 상병 특검법 처리와 연금개혁을 추진하려는 야권을 향해 일방적으로 강행하거나 졸속으로 다뤄서는 안 된다고 한 목소리로 호소했다.

황 비대위원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채 상병 특검법과 관련 “특검법은 여야 합의로 추진하고 상정해 왔던 게 관행이다. 이번에도 이 부분에 대해 국회의장과 다수당인 더불어민주당이 깊이 생각해 정치의 어지러움, 국정 운영에 지장이 없도록 잘 처리해 주실 것을 간곡히 당부한다”며 “세간에 있는 수사에 대한 부당한 압력이나 지시가 있었다는 것은 이제 민주당이 설계한 공수처에서 속도감을 갖고 수사가 진행되고 있기 때문에 명명백백히 진실이 밝혀질 것”이라고 공수처 수사 결과를 지켜보자는 입장을 내놨다.

특히 그는 “대통령께서는 평생을 수사지휘한 분이고 부당한 압력에 의한 수사지휘에 대한 개입에 의연한 모습을 보여 국민들이 대통령 자격이 있다고 인정했다”며 “대통령에 대한 미진한 수사가 있다든지 오류가 있을 때, 대통령께서 스스로 특검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하는 차제에 21대 국회 마지막에 여러 민생현안이 있는데 이를 강행해 특검을 시작하자는 것에 대해 우리 당은 우려를 금치 못한다”고 강조했다.

이 뿐 아니라 황 위원장은 연금개혁과 관련해서도 “모수개혁과 구조개혁이란 큰 두 축이 있는데 한 번 결정하면 적어도 20~30년 지속해야 하는 개혁이기 때문에 모수개혁만으로 일단락 짓고 다시 구조개혁을 한다면 서로 모순과 충돌이 생기고 세대 간 갈등 등 우려되는 게 있다. 두 개혁을 한 뭉텅이로 해야 한다는 게 저희 입장”이라며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모수개혁에 대해 유연한 태도를 보이며 정부와 논의하고 양당이 함께 해야 한다고 한 데 대해 환영을 표한다. 모수개혁에 대해 의사가 합치되는 부분이 있다면 그걸 전제로 22대 국회가 개원하자마자 여야가 하나의 안으로 결론 내려 난제를 해결하는 멋진 국회가 되자”고 제안했다.

이 뿐 아니라 뒤이어 추 원내대표도 이 자리에서 “21대 마지막 국회가 이틀 남은 상황에서 또다시 특검법을 강행 처리하고 연금개혁을 졸속으로 처리하려는 움직임만 국민 앞에 비춰지고 있다”며 “여야 합의 없는 거대야당의 힘자랑, 입법폭주 국회. 21대 국회의 마지막 모습도 22대 국회의 시작하는 모습도 이래서는 안 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채 상병 특검법과 관련해선 “대통령을 끌고 들어가 탄핵을 운운하고 장외투쟁을 통해 정치사건으로 변질시키는 것은 고인을 위한 길이 아니다. 공수처 수사 결과가 미흡하다면 국민의힘이 먼저 특검 하자고 주장할 것”이라고 공언했으며 연금개혁에 대해서도 “100년 뒤를 내다보고 미래세대를 보며 추진해야 할 역사적 과제니 민주당은 다수당의 힘으로 이틀 남은 21대 국회에서 밀어붙이지 말고, 22대 국회에서 진짜 연금개혁이 추진될 수 있도록 함께 힘을 모아주기 바란다. 지금부터라도 국민이 바라는 정치, 여야가 끊임없이 대화하고 타협하는 정치를 시작해야 한다”고 민주당에 촉구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