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전날 서울광장 분향소 방문 이어 1일 녹사평역 광장 분향소도 찾아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위원들과 1일 녹사평역에 마련된 이태원 희생자들에 대한 조문을 하고 있다.(좌), 국민의힘 의원들도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서 조문하고 있다.(우). ⓒ뉴시스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위원들과 1일 녹사평역에 마련된 이태원 희생자들에 대한 조문을 하고 있다.(좌), 국민의힘 의원들도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에서 조문하고 있다.(우). ⓒ뉴시스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일 이태원 녹사평역에 마련된 이태원 압사사고 사망자 합동분향소를 방문해 연일 조문 행보를 이어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국무회의를 주재한 직후 이태원으로 이동해 국무위원들과 함께 헌화하고 묵념했는데, 앞서 전날에도 그는 부인 김건희 여사와 함께 서울시청 앞 서울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아 조문한 바 있다.

이날 방명록에 윤 대통령은 ‘슬픔과 비통함 가눌 길이 없다. 다시는 이런 비극을 겪지 않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재발방지에 방점을 둔 메시지를 적은 뒤 침묵을 지킨 채 분향소를 떠났는데, 분향소 헌화를 마친 뒤엔 임시 추모공간인 이태원역 1번 출구 앞으로 이동해 시민들이 쌓아둔 국화꽃 위에 자신도 헌화하고 한덕수 국무총리 등 국무위원들과 함께 잠시 묵념하기도 했다.

이후 윤 대통령은 1번 출구 입구를 채운 ‘여러분의 잘못이 아니다’, ‘어째서 축제를 즐기러 온 그대들이 피로 얼룩져야만 했나’ 등의 추모객 메시지를 보면서 국무위원들과 이야기를 나눈 뒤 약 10m 정도 더 이동해 압사 사고가 일어난 이태원 골목길을 한 총리 등과 함께 한 번 더 점검하기도 했다.

이번 추모 행보에 앞서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오전 국무회의도 한 총리가 아니라 대통령 주재 회의로 변경한 윤 대통령은 “대다수가 아들딸 같은 청년들이라 더 가슴 아프고 안타까운 마음을 금할 길이 없다. 부모님 심정이 오죽하겠나”라며 안타까운 심경을 밝힌 뒤 “거듭 강조하지만 국정 최우선은 사고 수습과 후속조치다. 관계기관은 내 가족 일이라고 생각하고 한 분 한 분 각별하고 세심히 챙겨 달라”고 주문했다.

특히 윤 대통령은 “관성적 대응이나 형식적 접근으로는 국민 생명과 안전을 온전히 지킬 수 없다. 사고와 재난대응은 철저하고 용의주도하게 이뤄져야 한다”며 “우리 사회는 인파 군중 관리에 대한 체계적 연구개발이 부족한 실정으로, 드론 등 첨단 디지털 역량을 적극 활용해 기술을 개발하고 제도적 보완도 해야 한다. 이번 대형 참사가 발생한 이면도로 뿐 아니라 군중이 운집하는 경기장, 공연장 등도 확실한 인파관리 안전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행사 주체가 없어 조치하기 어렵다는 정부를 겨냥해 책임회피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상황도 의식한 듯 “행사 주체자가 있느냐를 따질 게 아니라 국민 안전이 가장 중요하다”고 강조했으며 세계 각국 정상들이 애도의 뜻을 보내온 점을 거론한 뒤 “외국인 사상자도 우리 국민과 다름없이 최선을 다해 지원할 것”이라고 공언했다.

한편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에서도 윤 대통령처럼 연일 조문 행보를 이어갔는데, 전날 정진석 비상대책위원장 등 당 지도부가 서울시청 광장에 마련된 합동분향소를 찾은 데 이어 이날은 주호영 원내대표 등 원내지도부와 권성동, 안철수, 조경태 등 현역 의원 40여명이 같은 장소를 방문해 조문했고, 주 원내대표는 여야정·전문가가 참여하는 국민안전TF를 만들겠다고도 약속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