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남국 처벌해야, 최강욱 사건 침묵 강요해"
"2차 가해까지 종합하면 최강욱 처벌 가벼워"
"모든 패인 중심에 처럼회가 있어...해체해야"
"당심을 민심에 못 맞추면, 다음도 못 이길 것"
고민정 "박지현, 이제 위원장 아냐...신중하라"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박지현 전 더불어민주당 공동비상대책위원장이 '짤짤이' 논란의 최강욱 의원에 이어 21일 김남국 의원을 지목하며 징계 요구를 하고 나섰는데, 그는 당내 모임인 '처럼회'에서 활동하고 있는 김 의원에게 최 의원 사건의 은폐를 시도하려 했던 점과 한동훈 법무부 장관의 인사청문회에서 '이모' 논란을 일으킨 점 등에 책임을 물으며 비판을 가했다.
박 전 위원장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윤리심판원이 최강욱 의원에게 당원 자격정지 6개월 징계를 했는데, 늦었지만 다행이다"면서 "거짓과 위선, 폭력과 증오로 당을 위기로 빠트리는 강성 팬덤 대신, 국민 곁으로 조금 다가선 결론을 내린 것"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그는 "하지만 아쉽다"면서 "최강욱 의원의 거짓 발언, 은폐 시도, 2차 가해 행위를 종합해 보았을 때 당원 자격정지 6개월은 무거운 처벌이라고 보기 어렵다"고 진단하며 최 의원을 향해 "진심어린 사과"를 촉구했다.
아울러 박 전 위원장은 "김남국 의원을 비롯해 당시 회의에 참석하고도 진실을 감추고, 최 의원의 발언을 숨기려고 보좌관 입단속을 시킨 의원들에 대한 처벌이 없는 것도 문제다. 이 사건은 최강욱 의원 개인의 잘못일 뿐만 아니라 사건을 은폐하기로 공모한 회의 참석 의원 모두의 집단적 잘못인 것"이라면서 "최 의원을 감싸고 은폐에 가담했던 의원들에 대해서도 철저한 진실규명이 필요하다. 위력을 이용해 사건 자체를 침묵하도록 강요한 행위는 반드시 처벌받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우리는 여기서 멈출 수 없다. 혁신을 위해 다시 한 걸음 더 내딛어야 한다. 이번 결정을 계기로 지방선거 패배의 근본적 원인을 제대로 평가해야 한다"면서 "최강욱, 김남국 의원을 비롯해 팬덤 정치에 기댄 의원들이 주도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은 지방선거의 가장 큰 패인이었다. 폭력적 팬덤에 기대 민생을 외면하고 검수완박을 강행해 당 지지율이 10%p나 떨어졌다"고 꼬집었다.
이어 박 전 위원장은 "청문회를 한다며 (당시 법무부 장관으로 지목된) 한동훈 후보자를 앉혀 놓고, 검찰개혁 당위성을 제대로 설명도 못하고 망신만 당했고, (심지어) 민형배 의원은 국민들이 기겁할 꼼수 탈당을 강행해 버렸다"고 신랄하게 비판했다.
더욱이 그는 당내 '처럼회' 모임을 겨냥해 "모든 패인의 중심에 처럼회 의원들이 있었다. 처럼회는 팬덤에 취해 당을 국민과 멀어지게 만들고 지선을 참패로 이끌었다"면서 "처럼회는 해체해야 한다. 강성 팬덤에 기대 당과 선거를 망친 책임을 인정하고 자숙해야 한다"고 맹폭했다.
뿐만 아니라 박 전 위원장은 민주당을 향해서도 "당심을 민심의 바다에 맞추지 못하면 민주당이 항해할 희망봉은 어디에도 없다. 국민의 뜻을 온전히 반영하지 못하는 폭력적 팬덤이 흔들어대는 당으로는 다음 총선도, 다음 대선도 이길 길이 없다"면서 "당도 최 의원 처분을 계기로 팬덤정치와 완전히 결별하고 국민의 품으로 돌어가겠다는 약속을 해야 한다. 이제 우리는 팬덤 정치와 이별하고 대중정치의 길로 거침없이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한편 이날 고민정 민주당 의원은 YTN라디오 '뉴스킹'에 출연하여 박 전 위원장의 '소신 발언'에 대해 "이제 저희 위원장이 아니기 때문에 개인으로써 의견을 밝힐 수는 있다"면서도 "(그러나) 의도와는 다르게 여라 가지 정치적 해석이 이뤄질 수 밖에 없기에, 조금 더 신중한 행보나 답이 필요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며 못마땅해 하는 모습이 역력해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