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무협의'도 안 된 여야 후보 토론회, 누구 말이 진실?
與권혁기 "빠르면 18일 진행...尹측 실무자회의 안 왔다"
野김은혜 "거짓발표 유감...실무회의 연락 받은 바 없어"
김기현 "오늘 당장하자"...원희룡 "대장동 토론 즉각하자"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대장동 개발 특혜 비리 의혹과 관련하여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가 대장동을 주제로 한 토론회를 받아 들인다는 입장을 표명하여 국민적 기대가 모아졌지만, 정작 여야에서는 '대장동 토론회'의 실행을 두고 말만 무성할 뿐 서로 '핑퐁치기'를 거듭하며 머뭇거리면서 지체하는 모습을 보였다.
11일 권혁기 민주당 선대위 공보부단장은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들과 만나 "어제 KBS로부터 각 당의 TV토론 전담 실무자 협의를 열겠다는 제안이 와서 우리는 회의에 참석했다"며 "(우리는) KBS가 제안한 일정 중 가장 빠른 18일(토론)에 응하겠다고 답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그런데) 윤 후보 측 실무자가 (회의에) 안 왔다고 한다"며 "윤 후보의 (TV토론) 계획이 결정되지 않았다고 들었는데, TV토론이 조속히 성사되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김은혜 국민의힘 공보단장은 즉각 입장문을 통해 "오늘 민주당이 방송 토론 일정 조율을 위한 실무자 회의에 국민의힘 실무자가 불참했다고 발표했는데, 전혀 사실이 아니다"며 "국민의힘은 방송사로부터 민주당과의 실무 날짜를 연락받은 바 없다. 거짓으로 공당의 제안을 폄훼하고 거짓 발표를 한 민주당에 유감을 표한다"고 반박하고 나섰다.
김 공보단장은 "윤 후보는 이 후보에게 언제라도 토론을 하자고 제안했으며 양당 실무진이 만나서 토론에 대한 협의에 착수해줄 것을 제안한 바 있다"며 "이재명 후보는 지금 즉시 윤석열 후보의 토론 제안에 대한 협상에 응할 것을 촉구한다. 나라의 미래가 걸린 대선을 얄팍한 잔꾀로 넘기려 하지 말고 이재명 후보 측은 윤석열 후보의 토론 제안에 숨지 말고 진솔하게 답하기 바란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그는 "대선을 앞두고 전 국민의 관심이 집중되는 토론인 만큼 모든 언론에 취재 권리와 방송 중계가 보장되어야 한다"며 "특정 방송사를 택한 토론보다는 양자 간 합의에 의한 대국민 공개 토론을 여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입장임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면선 김 공보단장은 "오늘이라도 당장 양당 간 실무진 접촉을 갖고 토론에 대한 협의에 착수할 것을 제안한다"며 "이 후보 측은 공식적인 입장을 조속히 밝히기 바란다"고 거듭 촉구했다. 즉, 국민의힘 측은 언론사 실무협의가 아닌 당대당 협의가 우선이라는 점을 지적하며 토론 진행 횟수와 방식 등을 협의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것이다.
한편 이날 김기현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그동안 민주당은 특검에 자신 있다고 하면서도 우리 당의 특검법 협상을 위한 원내대표 회동에 응하지 않았던 것은 물론이고 원내대표 간 끝장 토론도 아직 성사되지 않았다"면서 "오늘이라도 당장 끝장 토론을 하자"고 제안하고 나섰다.
아울러 김 원내대표는 대장동 특검 도입과 관련해 "어제 법사위 전체회의가 열렸지만 민주당이 또 이 특검법 법안의 상정을 반대해서 불발되었다"며 "민주당은 가짜에 불과한 짝퉁 특검하자면서 국민을 오롱하기까지 하고 있다. 짝퉁 특검가지고 몸통 은폐하는 것을 정당화하겠다는 것 아닌가"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더욱이 그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의 핵심 측근이자 이재명 선대위 부실장인 정진상씨에 대한 소환조사는 벌써 세 번이나 미뤄졌다"면서 분노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김 원내대표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는 우리 당 윤석열 후보에게 그렇게 토론회 하자고 공개 압박을 하더니 윤 후보가 대장동 토론을 포함해서 실무 협의에 착수하자고 하니까 슬그머니 뒤꽁무니를 빼는 모양새다. 언제까지 이런 꼼수로 진실을 덮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인지 도대체 국민이 두렵지 않은지 묻고 싶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심지어 이날 원희룡 선거대책본부 원희룡 정책본부장도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전날 열린 대장동 4인방 재판을 언급하면서 "(민주당에서) 이재명 지시가 아니라 성남시장의 공식 방침이었다(고 말하는데) 말장난하면 안 된다"고 꼬집으면서 "대장동 토론 즉각하자. 대장동 토론 빨리하자"고 거듭 압박하고 나섰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