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따른 北 해킹에 조용한 청와대...'원자력硏‧대우조선해양‧KAI 당했다'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북한 한국원자력연구원, KAI 이외에도 해킹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국회 정보위 소속 하태경 의원은 “한국형 전투기(KF-21) 등을 제작하는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지난달 해킹당했다는 사실이 알려진 가운데, 또 다른 국가 주요 기관도 北 추정 세력으로부터 해킹당했을 것이라는 정황이 드러났다”고 했다.
이에 하 의원은 “정부가 사태의 심각성을 고려해 국가 사이버 테러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北 해킹 문제에 관해 동맹국과 긴밀한 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하 의원은 앞서 지난 달 29일 방위사업청 등 관계기관으로부터 KAI는 2021년 6월 16일 국가정보원으로부터 해킹 사실을 전달받고 긴급 조치를 했다는 내용을 보고 받았다.
또한, 하 의원은 대우조선해양과 KAI 말고도 다른 방산 업체 해킹 사고가 있었는지 묻자 ‘접수된 사건들이 직원 개인의 해킹인지 조직 내부망 해킹인지 판단하기 어렵고, 또한 업체 정보 노출 우려 때문에 확답하기 어렵다’라며 사실상 추가 피해 가능성을 시인한 사실을 언급했다.
국정원도 하 의원 실에 “그 사안은 아니지만, 유사 사례를 포착해 보안 조치했다’라고 답변을 한 것으로 하 의원은 밝혔다.
즉, 하 의원은 “원자력硏‧대우조선해양‧KAI 사건 모두 현재 조사가 진행되고 있거나 답변 이후에 발생한 사고였음을 고려하면 또 다른 北 해킹 사고가 있었다는 말이 된다”며 “ 따라서 국정원은 훨씬 더 많은 해킹 사고를 알고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이라고 했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하 의원은 “청와대는 즉각 NSC를 소집하고 ‘국가사이버안전관리규정’에 따라 국가 비상사태에 준하는 사이버공격 경보를 심각 단계로 발령해 범정부적인 총력 대응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며 “한미 사이버 안보 긴급회의를 개최해 공동 대응에 나서야 한다”고 했다.
또 “문재인 대통령은 이번 총체적 국가 사이버 보안 실패에 대해 사과하고 국가 1급 보안시설의 해킹을 속수무책으로 방관하고 감추기에만 급급한 박지원 국정원장의 책임을 물어 즉각 사퇴시키고 관련자들을 문책해야 한다”면서 “북한이 이번 해킹사태의 범인으로 밝혀진다면 정부는 그에 상응하는 비군사적 대응조치로 북한에 강력한 항의와 경고를 보내야 한다”고 역설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