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헌론으로 이재명 압박…당헌·당규개정 건의로 송영길 압박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더불어민주당 친문 의원들이 전당대회를 통해 친문과 거리가 있는 송영길 대표 체제가 출범한 데 이어 차기 대선후보 중에서도 유력주자로 부상할 만한 친문 후보를 찾지 못한 채 이재명 경기도지사의 독주가 계속되자 원내 수적 우세를 활용해 대대적인 반격에 나선 모양새다.
민주당의 친문 싱크탱크 격인 ‘민주주의 4.0 연구원’이 지난 16일 권력구조 개혁을 위한 개헌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었는데, 친문 의원들이 한 데 모인 이 자리에서 최인호 의원은 오는 2032년 대통령 4년 중임제 대선·총선을 동시에 실시하고 대선에 결선투표제를 도입하자는 개헌안을 제안했다.
앞서 지난달 이 지사가 “지금은 경국대전을 고치는 일보다 구휼이 더 중요한 시기”라며 개헌론을 일축했음에도 이처럼 친문 측이 갑자기 개헌론을 꺼낸 데 대해 일각에선 여당 대선후보 선두를 달리는 이 지사를 압박하고자 일부러 내놓은 카드가 아니냐는 반응을 보이고 있는데, 이를 의식한 듯 최 의원은 “(제왕적 대통령을 막기 위한) 권력 분산 논의가 뒤따라야 한다”면서도 “특정 대선 후보 또는 정치적 의도 전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또 민주당 대선후보 중 한 명인 이낙연 전 대표가 부통제를 포함한 개헌론을 꺼낸 점과 비교되는 데 대해서도 최 의원은 세미나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저는 총리 제도를 존속시키면서 협조의 고리로 삼자는 것이라 완전 결이 다르고 이 전 대표를 대변하는 게 전혀 아니다”라며 이 지사 견제 목적이란 시각에 선을 그었는데, 문제는 이 전 대표 시절 수석대변인을 역임했던 최 의원이 현재도 이 전 대표 캠프의 핵심 참모로 활동 중이란 점에서 정략적 대응이란 시선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이 뿐 아니라 친문 의원들은 강성 친문과 거리를 두고 있는 송영길 대표에 대해서도 전당대회 관련 당헌·당규 개정을 건의하며 압박에 나서고 있는데, 일찍이 지난 4월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당원이 진정 주인이 되는 룰로 바꿔야 당원이 주인인 당이 된다. 당 대표 선출방식도 바꾸자”고 주장했던 정청래 의원은 5월 정책 의원총회에서 당 대표·최고위원 후보자 예비경선 때 현행 중앙위원회 대의원 투표 방식이 아니라 중앙위 50%·권리당원 50% 비율로 바꾸자고 제안한 데 이어 당 대표 본선 진출 상한선도 현행 4명에서 대선후보 경선처럼 6명으로 늘리자는 내용도 포함한 당규 개정안을 같은 당 의원 90명과 함께 지도부에 전달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지난 7일 당규개정 건의 기자회견에 정 의원과 함께 나왔던 ‘강성 친문’ 김용민 의원도 지도부 선출 투표 반영률을 대의원 45%→25%, 권리당원 40%→60%로 조정하는 당헌 개정안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친문 지지층이 강세인 권리당원의 영향력을 대폭 확대해 당내 주도권을 확고히 쥐겠다는 의도로 풀이되고 있다.
하지만 송 대표는 지난 16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에서도 “조국의 시간을 국민의 시간으로 전환시켰다. 특정 세력에 주눅 들거나 자기 검열에 빠지는 순간 민주당은 민심과 유리되기 시작하는 것”이라며 친문의 반발에 개의치 않은 채 기존대로 나아가겠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데, 문제는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16일 전국 유권자 1004명에게 실시한 송 대표 직무수행평가 결과(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긍정률 38%, 부정률 39%로 박빙일 만큼 높은 지지를 받는 편도 아니어서 친문의 역공을 극복해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