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TK’ 지지율까지 흔들…국민의힘, ‘朴 사면’ 한 목소리

박근혜 전 대통령의 모습. 사진 / 시사신문DB
박근혜 전 대통령의 모습.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4·7보궐선거에서 국민의힘이 승리한 이후 박형준 부산시장의 제안으로 표면화된 박근혜 전 대통령 사면 문제가 사실상 문재인 대통령의 거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정치권에 여러 영향을 미치는 모양새다.

박 전 대통령 사면에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는 곳은 보수야당의 지지기반으로 꼽히고 있는 대구·경북 지역인데, 당장 대선후보 지지율만 해도 그간 야권 대선주자로 장기간 독주 양상을 보였던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TBS 의뢰로 한국사회여론연구소가 전국 유권자 1010명에게 실시한 23~24일 조사(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선 TK에서 6.2%P나 하락하며 40%선 아래로(39.7%) 떨어졌다.

이는 윤 전 총장이 박근혜 정부 당시 갈등을 빚었던 데다 박영수 특검의 국정농단 수사에 동참해 박 정권 붕괴에 일조했다는 데에 따른 반감으로 비쳐지고 있는데, 다만 여러 여론조사에서 야권 대선후보 중 유일하게 두 자리수대 지지율을 기록하고 있어 그에게 러브콜을 보내왔던 국민의힘에선 핵심 지지기반의 민심을 의식하지 않을 수도 없어 난감한 상황이다.

다만 차기 대선에서 승리하려면 외연 확장이 불가피한데다 자칫 과거의 친·비박 간 당 내홍을 재발시킬 수 있는 만큼 서병수 의원 등 당내 일각에서 박 전 대통령 탄핵까지 재론하려는 데 대해선 일단 거리를 두면서도 박 전 대통령 사면에는 적극 찬성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30일 열린 원내대표 경선에 나선 후보 중에서도 유승민계로 꼽히는 유의동 의원이 가장 적은 득표수를 얻은 반면 당내 최다 의석을 차지하고 있는 영남권 의원들이 유일한 영남 출신인 김기현 의원의 당선에 힘을 실어준 점도 여러모로 시사하는 바가 깊다.

특히 비박 후보로 꼽혀온 유 의원이나 권성동 의원은 결선투표에도 오르지 못했다는 점에서 박 전 대통령을 의식하는 기류는 여전한 듯 보이는데, 반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중도층의 표심을 어떻게든 끌어와야 되는 여당에선 박 전 대통령 탄핵 국면 중 거론됐던 계엄령 선포 준비 의혹을 다시 거론하면서 국민의힘을 겨냥해 집중 공세를 퍼붓고 있다.

실제로 여당 대선잠룡 중 한 명인 추미애 전 법무부장관은 지난 28일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박 전 대통령이 김기춘 등과 함께 기무사령관에게 계엄령 검토를 지시했다는 고백이 나왔다. 혐의자들에 대한 수사를 재개할 충분한 이유가 된다”고 주장했으며 민주당 당권주자인 송영길 의원은 29일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탄핵이 헌재에서 기각되면 군사 진압을 준비했다는 얘기로 천인공노할 일이다. 이런 상태에서 박근혜 사면 논란은 국민적 공감대를 갖기 어렵다”고 역설했다.

한 발 더 나아가 같은 당 우원식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내란 음모 관련 위법 사항이 있다면 형량이 더 늘어야 할 판에 무슨 사면인가”라며 “당장 조현천 전 기무사령관을 미국에서 소환 조사해 박 전 대통령의 구체적인 가담 여부, 실행 계획 등을 확인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했는데, 이렇듯 박 전 대통령 사면 여부를 놓고 여야가 분명한 시각차를 보이는 가운데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26~28일 유권자 1001명에게 실시한 전직 대통령 사면 찬반 여론조사(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선 일단 ‘시기상조’란 반응(52%)이 ‘논의가 필요하다’(41%)는 답변보다 높게 나와 당분간 박 전 대통령 사면이 이뤄지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