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 국민 여론조사 반영해 큰 문제 없다고 봐”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김두관 전 의원, 정성호 의원. 시사포커스DB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김두관 전 의원, 정성호 의원.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대선후보 선출 방식을 과거 ‘완전 국민경선’ 방식에서 당원 투표 50%·국민 여론 조사 50%의 ‘국민참여경선’으로 돌연 변경하여 ‘비명계’(비이재명) 측의 반발이 큰 가운데, ‘친명계(친이재명)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은 15일 “민주당의 권리 당원들이 선택한 결과”라며 “50% 국민 여론조사를 반영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정 의원은 이날 KBS라디오 ‘전격시사’에 출연하여 “(이재명 전 대표가) 어쨌든 당 대표를 3년 했으니까 유리하기는 하겠지만, 이 전 대표가 지난해 총선 지위에서 압도적 승리를 만들어 내지 않았느냐. 그런 면에서 당원들의 신뢰가 좀 있다고 봐야 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민주당은 지난해 총선 과정에서 ‘비명횡사 공천 파동’으로 당내 ‘비명’(비이재명) 성향 인물들이 축출되어 일부 당원들의 탈당 러시가 이어지는 등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무엇보다 정 의원은 “지난 19·20대 과거의 사례에 비해 퇴보한 것 아닌가란 말씀도 있다”며 “하지만 그 당시 권리 당원 숫자가 20만 명 내외였다. 노무현 전 대통령 때 같은 경우도 10만 명 정도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민주당 권리 당원만 120만 명에 육박하고 있고, 일반 당원의 경우 200~300만 명 정도까지 보고 있다”며 “그렇기에 일반 국민의 여론도 많이 반영된다고 보고 있다”고 반론을 펼쳤다.

정 의원은 경선룰 변경의 배경이 된 ‘역선택 발생’ 문제에 대해서도 “특정 정당에 반대하는 생각을 가진 분들이 만약 조직화 되어 있다고 하면 집단으로 가입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그는 “(경선룰이) 완전히 오픈되어 있다고 하면 우려가 현실화된 사건들이 있다고 민주당 내부에서는 평가하고 있다”며 “이번 탄핵 국면을 거치면서 양 진영 간의 분열과 갈등이 굉장히 심해졌고, 그 중심에 또 굉장히 강경한 조직화 된 세력들이 있다고 본다”고 주장했다.

김두관 전 의원이 이번 경선룰에 반발해 경선 불출마 의사를 밝힌 것에 대해선 “아쉽다”며 “그래도 경선에 참여해 완주하면서 당내 통합과 국민에게 자신의 비전을 녹여내서 민주당의 비전으로 만드는 데 역할을 해줬으면 하는 게 개인적인 바람”이라고 했다.

김두관 전 의원이 경선에서 제외되면서 이재명 전 대표와 김동연 경기지사, 김경수 전 경남지사의 3파전으로 압축 정리된 것에 대해선 “(이재명 대세론에 대해) 변수가 없다고 얘기하면 경선이 너무 재미없을 것”이라면서 “김경수 전 지사는 영남의 목소리를 내는 데 역할을 할 거라고 보고 있고 앞으로 기회가 더 많이 있을 것이라서 이번에 꼭 완주하여 큰 성과를 내기를 나름 기대한다. 김동연 지사도 경제 분야에 능력이 있는 분이라서 적극적으로 경선에 참여하여 본인이 꿈꾸는 경제 위기 해결의 해법들을 좀 제시해주면 좋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