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입법·사법부가 개인·세력에 장악 안 되고 다양·다원화된 국민 요구 담는 헌법 만들 것”

2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2일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축사를 하고 있다. [사진 / 오훈 기자]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3일 “내일 헌법재판소 심판 결과 대통령 직무복귀로 결정된다면 서둘러, 적극적으로 개헌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권 위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이번 비상계엄과 대통령 탄핵 사태를 통해 시대에 맞지 않는 ‘87체제’ 모순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위원장은 이어 “대통령도 임기에 연연하지 않겠다고 약속한 만큼 국민의 뜻을 모아 시대정신에 맞는 헌법을 만드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며 “행정부와 입법부, 사법부 어느 것도 특정 개인이나 세력에 장악되지 않고 다양화, 다원화된 국민 요구를 담아내는 더 큰 헌법을 만들겠다”고 천명했다.

앞서 윤 대통령은 지난 2월 26일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11차 변론 당시 최후진술을 통해 “제가 직무에 복귀하게 된다면 먼저 ‘87체제’를 우리 몸에 맞추고 미래세대에게 제대로 된 나라를 물려주기 위한 개헌과 정치개혁 추진에 임기 후반부를 집중하겠다”며 “개헌과 정치개혁이 올바르게 추진되면 그 과정에서 갈라지고 분열된 국민들이 통합될 것이라고 믿는다. 그렇게 되면 현행 헌법상 잔여 임기에 연연해할 이유가 없고 오히려 제게는 크나큰 영광”이라고 발언한 바 있다.

권 위원장은 “지금 대한민국은 어느 때보다 심각한 위기 상황이다. 대통령 직무 복귀를 주장하는 국민과 반대하는 국민으로 갈라져 극단적 대립을 보인다”며 “위기를 극복하고 다시 도약의 길로 나아가려면 가장 먼저 정치부터 달라져야 한다. 정치가 갈등 조정장이자 사회통합 마중물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승복 여부를 묻자 ‘승복은 윤석열(대통령)이 하는 것’이라며 사실상 불복 선언을 했다. 이 대표가 바라는 게 충돌과 유혈사태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며 “애당초 오늘의 사태를 불러온 데는 민주당 책임이 가장 크다. 아무리 의견이 달라도 대화와 타협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민주당을 직격했다.

그는 이어 “국민 여러분께도 간곡히 호소 드린다. 설령 받아들이기 힘든 판결이 나온다고 해도 법과 제도의 틀 안에서 대화와 타협이라는 정치 본질을 지키며 대안을 모색하고 절충안을 만들어야 한다”며 “갈등을 부추기고 혼란을 키우는 정치세력이 있다면 국민 여러분이 과감히 퇴출시켜 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