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관 최고 명예, 대통령 안전 위해 목숨 바치는 것이라 교육 받아”

22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22일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의원의 질의에 답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이 21일 자신이 윤석열 대통령 체포를 방해했다는 혐의에 대해 “어떤 지시가 아니라 법률에 따라 경호 임무 수행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차장은 이날 오전 구속 전 피의자 심문을 받기 위해 서울서부지법에 출석하면서 기자들로부터 ‘대통령 지시를 받고 영장 집행을 방해한 게 맞느냐’는 질문이 나오자 이같이 답했다.

그는 당시 윤 대통령을 체포하기 위해 관저 경내에 들어왔던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를 꼬집어 “사전에 영장 제시나 고지 없이 무단으로 정문을 손괴하고 침입했다”며 “당연히 막아야 하는 게 아닌가. 저는 적법한 조치를 위해 사전에 경고했고 그 매뉴얼에 따라서 임무를 수행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경호관에게 최고의 명예는 대통령의 안전을 위해 목숨 바치는 것이라고 교육 받고 훈련 받았다”며 “처벌이 두려워 (경호) 임무를 소홀히 한다면 경호처의 존재 이유가 없다. (영장실질심사에서) 적극 변론하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의 배우자인 김건희 여사가 ‘총기를 사용하지 않고 뭐했느냐며 경호처를 질책했느냐’고 기자들이 질문한 데 대해서는 “사실이 아니라고 이미 대통령실에서 밝혔다”고 응수했으며 윤 대통령의 총기 사용 지시에 대해서도 “잘못된 보도다. 어디에도 그런 내용은 없다”고 일축했다.

김 처장은 “대통령이 문자로 그런 지시를 했다는 내용을 봤는데, 체포영장 집행 저지는 1월3일에 있었고, 저하고 대통령님이 문자를 주고받은 것은 1월7일이다. 어떻게 미래에서 과거를 지시하겠나”라며 1월7일 당시 윤 대통령과 문자를 주고받은 것과 관련해서도 “왜 문제인지 모르겠다. 박종준 경호처장이 엄중한 시기에 휴가 갔기 때문에, 휴가 보고 받은 대통령께서 경호 책임자가 부재니까 그 다음 책임자인 저에게 원론적으로 경호책임자로서 대통령의 안전, 국가원수의 안전만 생각하라는 원론적 얘기를 한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윤 대통령이 보안폰 서버 기록 삭제 지시를 내렸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사실이 아니다. 규정에 따라 보안 조치를 강구한 것 뿐 삭제 지시는 없었다”고 부인했다. 이날 김 처장보다 조금 먼저 서부지법에 출석한 이광우 경호본부장은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지 않은 채 법원으로 들어갔다.

앞서 김 처장과 이 본부장에 대해 2차례 이상 구속영장을 기각했던 검찰은 지난 18일엔 윤 대통령 1차 체포 작전을 방해했다는 특수공무집행방해 혐의와 보안폰 기록을 삭제하라고 지시했다는 대통령경호법상 직권남용 혐의 등으로 이들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김 처장과 이 본부장이 구속에 대한 법원 판단을 받는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구속 여부는 이르면 이날 중 나올 것으로 전망된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