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하람 “김기현 만남?, 연대 의지 있는지 확인이 우선”
“지도부 교통정리 된후 만나는 것이 훨씬 의미있을 것”
김재섭 “한번 만나 될 수 있는 거 아냐, 애프터가 중요”
장예찬 “윤정부 성공 위한 헌신 자세 됐느냐가 대전제”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연포탕’(연대·포용·탕평) 정치를 띄우고 나섰던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가 경쟁 구도에 있던 당권주자들과 만남을 가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김 대표가 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에게도 만남을 제안했지만 천 위원장이 회동 목적에 의구심을 내비치며 “당 지도부가 진정 ‘연대’와 ‘포용’하려는 의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일단 거부감을 표명해 눈길을 끌었다.
천 위원장은 전날밤(13일) CPBC 평화방송 라디오 ‘김혜영의 뉴스공감’에 출연하여 “김기현 대표 측으로부터 만났으면 좋겠다는 연락을 받았지만, 구체적으로 일정을 협의하거나 그런 단계는 아니다”고 밝히면서 “지도부의 통일된 입장이 뭔지를 사실 잘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이어 천 위원장은 “김기현 대표는 선거 다음 날 연포탕을 말했는데, 김재원·조수진·장예찬 최고위원은 저를 포함한 개혁 후보들에 대해 ‘영구추방의 대상이다, 훌리건이다’고 말했다. 저 같은 (이준석 전 대표의) ‘대리인’은 만나지 않아도 된다는 메시지를 내놓았다”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하면서 “김기현 대표 말은 충분히 이해하지만 지도부에서 어느 정도 교통정리가 되고 나서 만나는 것이 훨씬 더 의미가 있지 않나 싶다”고 지적했다.
즉, 천 위원장은 김 대표가 이끄는 당 지도부의 입장이 정치 동행자로서 ‘친이준석계’를 인정하는지에 대한 여부에 대한 입장이 명확해야 김 대표와의 만남도 의미 있다는 점을 피력한 셈이다. 앞서 김 대표는 지난 13일에는 안철수 의원과 회동을 가진 바 있고 오늘(14일)은 황교안 전 대표와 만남을 가질 예정에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친이준석계로 분류되고 있는 김재섭 서울도봉갑 당협위원장도 전날밤 CBS라디오 ‘박재홍의 한판승부’에 출연하여 김 대표가 낙선한 당권주자들과 회동을 하는 모습에 대해 “소개팅을 하는 상황 정도로 보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한번 만나서 뭐가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예를 들면 안철수 의원이나 황교안 전 대표라든지 김기현 후보와 얼마큼 호흡을 맞출지 모르지만, 애프터를 갖고 세 번째도 만나고 네 번째도 만나면 한 팀이 되는 거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김 위원장은 “결국은 김기현 대표가 얼마만큼 끌어 안고 가느냐가 제일 문제인 것”이라고 상황을 짚으면서 “지금은 우리가 총선을 1년 앞둔 지금 상황에서 김기현 대표는 당에 분열 조짐이 있는 것을 방치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여 사실상 김 대표에 더 큰 포용을 당부했다.
한편 친이준석계와 대립각을 세워왔던 장예찬 청년최고위원은 14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하여 “근데 누구를 배제하고, 누구를 같이 가고 이런 차원 이전에 전당대회가 끝났으면 누가 되었던 윤석열 정부 승리를 위해서 성공을 위해서, 그리고 국민의힘 다음 총선 승리를 위해서 우리가 헌신할 수 있다는 기본 자세가 되어야 하는 것이 대전제인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장 청년최고위원은 “지도부 차원에서 품을 넓게 열고 김 대표께서 연포탕 끓이자고 하셨고, 이번에 지명직 최고위원으로도 과거 유승민 전 대표와 정치 함께했다고 알려진 강대식 의원을 모시지 않았느냐”고 반문하면서 “그런 차원의 어떤 손을 내밀 수 있는 메시지를 내는 게 당연한거다. 윤석열 정부의 성공이나 총선 승리를 위해서 헌신할 준비가 되었는가, 진정성이 있는가가 중요한 것”이라고 말해 사실상 친이준석계의 태도 변화가 먼저 있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다시 말해, 친이준석계와의 정치 연대는 김 대표에게 달린 문제가 아니라 자신들에게 달려 있다는 점을 지적한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