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성호 "이재명 대표직 사퇴 안돼, 당헌 80조 해석도 잘못돼"
"분리대응 반대, 이재명은 개인이 아니라 민주당의 당대표"
"검찰의 수사 행태 보면, 李 망신주기 방식의 수사로 보여져"
"당헌 80조?, 사무총장의 지휘 하에 있는 당직자만 해당해"
"조국 시즌2로 가지 않을 것, 尹정권 본질 폭로 방향으로 가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좌)와 '친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우). 시사포커스DB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좌)와 '친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민주당 의원(우).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친명계'(친이재명계) 좌장으로 불리는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31일 당내 일부에서 이재명 대표의 사법리스크를 분리 대응하자는 주장에 대해 "저는 반대"라며 지금 상황에서 이 대표가 대표직을 사퇴해서는 안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정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이 대표는 '개인'이 아니라 '민주당의 당대표'"라면서 "(이 대표를 향한 지금의 검찰의 의혹 수사들은) 이 대표에 대한 사법 처리만이 목표가 아니라 전반적으로 야당을 죽이고, 우리 사회의 민주적인 시스템을 파괴하기 위한 과정으로 보고 있기 때문에 당연히 대응할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검찰의 지금까지 수사 행태를 보면 역시 망신주기 방식의 수사"라고 꼬집으면서 "결국에는 영장을 청구하지 않겠는가. (그리고) 영장을 청구하면 당연히 체포동의안을 국회에 보내게 돼 있는데, 체포동의안을 부결하든 가결하든 그때 봐야겠지만 부결되면 야당이 '특권 의식을 갖고 당 대표를 방탄하기 위해 부결시켰다'는 논리로 또 비판하지 않겠는가"라고 내다봤다. 

그러면서 정 의원은 "(이재명 방탄이라는) 그런 프레임을 만들어가기 위해서 당연히 청구할 것이라고 본다"며 "지금 상황에서는 이 대표를 중심으로 뭉쳐서 대응하는 게 맞다고 본다"이라고 덧붙였다. 

더욱이 그는 검찰을 향해 "(이 대표를) 털어서 먼지가 안 나니까 먼지를 묻혀서 터는 게 아닌가 의심할 수밖에 없다"며 "지금 검찰은 이게 이 대표를 수사해서 사법 처리하는 데 그치지 않고 우리 사회 전체를 바꾸려 한다는 의심을 하고 있다. 지금 권력과 다른 목소리를 내는 우리 사회의 민주적인 시스템 자체를 갖다가 위협을 하고 있는 게 아닌가하는 그런 걱정이 많이 든다"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하기도 했다.  

아울러 정 의원은 당직자가 기소되면 직무 정지를 시킬 수 있는 '당헌 80조' 논란에 대해서도 "당헌 80조가 처음부터 해석이 잘못됐다고 생각한다"며 "저는 법률가로서 봤을 때 원래는 그렇게 해석은 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데, 왜냐하면 사무총장이 뇌물 등 이런 혐의, 기타 등등의 혐의로 기소되면 기소된 당직자의 경우 직무를 정지하고 윤리심판원에 회부할 수 있다고 돼 있다. (즉, 판단의) 주체가 사무총장인데, 사무총장에 선출된 당대표나 최고위원회에 대해서 그렇게 할 수 있겠느냐. 사무총장은 당직자다. 고유 의미의 원래 당의 당무를 보면 당직자라고 저는 해석해야 한다고 보고 있다. 그러니까 사무총장의 지휘 하에 있는 당직자에 해당하는 사항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즉, 당대표 등 선출된 당 지도부는 '당헌 80조'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반박한 것이다.

더 나아가 그는 이 대표의 검찰 대응 방식이 '조국 사태'와 유사한 '조국 시즌2'로 가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 "그렇지는 않을 거라 보고 있다. 저희도 충분히 경험을 했기 때문에 우리 당의 여러가지 대응이 국민들을 분열시키고 진영 간 갈등을 증폭시키는 방향으로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잘라 말하면서도 "(그러나) 지금 윤석열 정권이 민생을 포기하고 경제 문제 해결을 지금 포기한 상황 아니겠는가. (그리고 현 정권에서) 전방위적인 민주주의, 민주파괴 또는 장기 집권 음모를 갖다 실행하려고 하는 그런 시도들이 있기에 이런 걸 폭로하는 자리가 돼야 된다고 생각한다. 윤석열 정권의 어떤 본질, 검찰 수사의 본질을 폭로하는 그런 방향으로 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