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비대위 체제' 32.5% vs '이준석 전 대표체제' 48.4%
與지도부 '새 비대위' 준비 박차, 오늘 '상임전국위 소집'
이준석측 총력 저지, 전국위 개최 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전주혜 "李 승소 가능성 낮아...당헌은 위인설법 아니야"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연일 내홍을 겪고 있는 국민의힘이 '조속한 당 정상화' 차원에서 새로운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을 위해 2일 상임전국위원회를 열어 새 비대위와 관련된 당헌 제96조 제1항 개정안을 의결할 예정인 가운데 한 여론조사에 국민 절반 가까이가 '국민의힘이 새 비대위 보다는 기존의 이준석 전 대표 체제로 돌아가는 것이 맞다'고 답했다.
2일 발표한 여론조사전문회사인 미디어토마토가 뉴스토마토의 의뢰로 지난달 30~31일 양일간 전국 성인남녀 1031명을 대상으로 한 정기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논란에 휩싸인 국민의힘의 지도체제에 대해 '새 비대위 체제로 가야 한다'고 찬성한 응답자는 32.5%로 집계된 반면 '기존 이준석 전 대표 체제로 돌아가야 한다'는 응답률은 48.4%로 오차범위 밖 우세한 것으로 기록됐다. 이밖에 '잘 모르겠다'는 19.2%였다.
특히 인구학적 특성인 연령과 지역에 상관없이 모든 세대와 전 지역이 '기존 이준석 전 대표 체제로의 돌아가야 한다'고 답했는데, 다만 정치성향별과 지지정당별에 따라서는 확연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보수층과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새 비대위 체제'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무선 100% 자동응답(ARS) 방식의 전화조사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였고,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참조할 수 있다.
한편 앞서 지난 26일 법원은 이 전 대표가 제기한 비대위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을 인용하여 사실상 당의 비대위 체제 전환에 대해 하자가 있음을 인정한 셈이 됐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민의힘 지도부는 권성동 원내대표가 직무정지된 주호영 비대위원장을 대신해 '비대위원장 직무대행' 체제로 돌린 후 새로운 비대위를 출범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나섰다.
이에 이 전 대표 측은 맞대응 차원에서 전날(1일) 법원에 다시 '전국위원회 개최 금지' 가처분을 추가로 신청하며 총력 저지에 나선 모습을 보여줬다. 즉, 법원이 비대위 전환에 절차상 하자가 있음을 인정하여 힘을 실어준 이상 절대 '윤핵관'(윤석열 핵심 관계자)과의 권력싸움 양상에서 질 수 없다는 강한 의지를 내비친 것이다.
반면 국민의힘 현 비대위원인 전주혜 의원은 이날(2일)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하여 이 전 대표를 향해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신청을 보면 전국위에서 당헌을 개정하는 것을 멈춰 달라는 것인데, 사실 당헌은 특정인을 상정하고 개정하는 위인설법이 아닌데 그것조차 막으려고 하느냐"고 불편한 심경을 내비치면서 "(계속되는 이 전 대표의 가처분 신청 행동을 보면) 이 전 대표가 굉장히 급하고 불안하다는 것이다. (왜냐하면) 당헌 개정에 따라 새 비대위가 출범할 경우 (이 전 대표가) 추가 가처분 신청을 해도 승소 가능성이 낮으니 미리 막으려는 것"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 전 의원은 "가처분 결정은 임시 처분이라 이것 만으로는 국민의힘이 최고위원회로 복귀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최고위원회로 복귀하려면 본안 소송에서 1심~3심 재판을 거쳐 ‘비대위 출범은 무효’라는 확정 판결을 받아야만 가능하다"고 설명하면서 "국민의힘은 전국위를 통해 당헌을 개정한 뒤 새 비대위를 출범시킬 예정"이라고 더욱 대립각을 세우며 한치도 뒤로 물러지지 않을 것임을 시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