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달 파일럿 테스트…최첨단 물류 시장 혁신 가속도 전망

김경훈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오른쪽)과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왼쪽)이 15일 오후 경기 화성시 동탄 CJ대한통운 TES이노베이션센터에서 열린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CJ대한통운
김경훈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오른쪽)과 장익환 LG전자 BS사업본부장(왼쪽)이 15일 오후 경기 화성시 동탄 CJ대한통운 TES이노베이션센터에서 열린 업무협약 체결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CJ대한통운

[시사신문 / 강민 기자] CJ대한통운과 LG전자가 손잡고 물류로봇 기술 해외 의존도를 낮추고 국산화를 추진키로 했다.

15일 CJ대한통운과 LG전자는 경기도 화성시 소재 CJ대한통운 TES이노베이션센터에서 '물류로봇 공동개발 업무 협약'을 체결했다.

양사는 이번 협약에 따라 AMR(Autonomous Mobile Robot •자율주행 운송로봇)기반 오더피킹 시스템을 공동으로 개발하는 기술 협력을 진행한다. 다음달 곤지암 풀필먼트센터에 AMR 10대를 투입해 파일럿 테스트를 거치고 순차적으로 오더피킹 AMR 업그레이드를 통해 로봇 솔루션을 타 물류센터로도 확산하고 추가 기술 개발도 타진한다.

양사가 물류로봇 공동개발을 통해 의존도를 낮추고 첨단 물류로봇을 국산화 시도도 주목을 끌고 있다. 그동안 물류로봇 관련 기술은 해외에 의존해왔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투자 대비 효율, 유지 보수, 커스터마이징 등 여러 부분에 어려움이 있었다. 이번 물류로봇 공동개발은 전 세계적 물류센터 첨단화 트렌드에 발맞춰 물류 시장 혁신에도 가속도가 붙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이번 개발에 CJ대한통운은 국내외 물류센터 로봇 운용 노하우와 방대한 물류 데이터를 제공하고 LG전자는 이를 바탕으로 현장 즉시 투입 가능 기술로 업그레이드 과정을 진행한다. LG전자는 하드•소프트웨어 최적화, 시스템 커스터마이징을 맡고 CJ대한통운이 물류 시스템과 인터페이스 등을 설계하면서 첨단 물류센터 구현에 다가선다는 구상이다.

김경훈 CJ대한통운 TES물류기술연구소장은 "이번 개발을 시작으로 최첨단 물류센터를 구현해 대체 불가능한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양사 협력 핵심인 AMR은 주문에 따라 정해진 위치로 자율 주행해 이동 후 작업자가 상품을 피킹해 실으면 다음 포장단계로 이송하는 로봇으로 기존 AMR이 기본적으로 출발지와 목적지를 오가는 형태라면 오더피킹 AMR은 다양한 상품 위치를 파악해 최적 동선으로 이동하는 차이가 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