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승민 "이재명, 특혜 몰아준 정황 발견...단순한 우연 아니야"
"수사당국, 과감하게 수사해야...늑장으로 증거인멸 방치 말아야"
윤석열 "유동규-화천대유와 매우 흡사...의혹마다 이재명측근 등장"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사포커스DB
(왼쪽부터) 더불어민주당 대선주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과 윤석열 전 검찰총장.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유승민 전 의원이 18일 경기도 성남시 백현지구 호텔개발 사업에 대해 "대장동(특혜비리 의혹)과 유사한 방식으로 측근에게 특혜를 몰아준 정황이 발견됐다"며 고발하고 나섰다.

유 전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대장동 사건의 판박이, 백현지구 호텔사업 특혜 의혹을 고발한다"며 "의혹 당사자는 성남산업진흥원 안준태 전 이사다. 안 전 이사는 이재명 경기지사가 2013년 임명한 자로 민주당 문학진 전 의원 보좌관 출신이다. 현재 경기주택공사 부사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인물이다"고 비판했다.

그는 "안 전 이사가 성남산업진흥원에 임명된 이후 성남시는 백현지구 시유지에 호텔개발에 대한 연구용역 및 호텔사업 시행을 각각 ㈜피엠지플랜과 ㈜베지츠종합개발에 수의계약으로 맡겼다"며 "그런데 두 회사는 이름만 다를 뿐 등기 이사 대부분이 동일 인물이고 소재지 주소도 같다"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유 전 의원은 "문제는 성남시가 이 기업들과 수의계약을 체결할 당시 안 전 이사가 ㈜베지츠종합개발의 협력사인 ㈜유엠피의 사내이사를 맡고 있었다는 사실"이라며 "성남시 산하기관 등기이사로 재직한 시기와 시청에서 주도하는 호텔 건설 협력사의 등기이사 시기가 맞물리는 것은 단순한 우연이 아닐 것"이라고 의구심을 드러냈다.

이어 그는 "안 전 이사는 2019년 8월에 경기주택도시공사 북부본부장으로 취임했는데 이 시기도 해당 부동산 개발 협력사의 근무 기간이 겹친다. 안 전 이사가 ㈜유엠피에서 이사로 재직한 시기는 2020년 1월까지"라며 "당시 성남시장이었던 이재명 지사는 안태준 이사의 수상한 겸직, 협력사 특혜 의혹에 대해 사실관계를 소상히 밝혀야 한다"며 지적했다.

아울러 유 전 의원은 "수사당국은 성남시에서 이루어진 납득하기 어려운 수의계약 과정, 시행사 선정관정, 이재명 지사와 안태준 이사의 개입여부, 개발과정에서의 뇌물 수수 여부 등을 신속하고 과감하게 수사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하면서 "만약 문재인 정부가 이 사건 역시 늑장대응으로 관계자들이 해외로 도피하거나 증거인멸을 하도록 방치한다면 국민들이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라는 점을 엄중히 경고한다"고 힘주어 말하기도 했다.

한편 윤석열 전 검찰총장도 전날 페이스북을 통해 백현지구를 언급하며 "2015년 이재명 당시 성남시장은 백현동 구 한국식품연구원 부지에 대해 '자연녹지지역'을 '준주거지역'으로 4단계나 용도를 상향 변경해줬다. 용도변경이 되지 않아 여덟 차례나 유찰된 땅이었는데 시행업체에 이재명 후보의 선대본부장이던 김인섭이 들어가자마자 용도 변경을 해줬다. 이재명 후보 특혜로 시행업체는 막대한 분양이익 3142억원을 챙겼고 그의 측근 김인섭은 시행업자에게 지분 25%를 요구해 소송 끝에 70억원을 받았다"며 "유동규와 화천대유가 맺은 관계와 매우 흡사하다. 성남시 인허가 관련 로비 때문 아니었을까"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이어 윤 전 총장은 "이 지사가 성남시장일 때 성남시로부터 부지 개발계획에 대한 연구용역을 의뢰받아 수행한 민간업체가 경쟁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30년간 장기 임대계약을 따냈다. 부지에 지상 21층 호텔을 짓는데 민간업체가 토지 임대료로 자산가액의 1.5%에 불과한 연간 수억 원 안팎만 부담하면 된다"며 "민간업체는 호텔과 계약으로 연간 막대한 이익을 보는 반면, 성남시에는 수억 원만 내면 되니 배임 혐의가 짙다"고 부연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 민간업체에도 성남시 산하기관 임원 출신 인사가 근무했다. 의혹이 있는 모든 사업에 이 후보 측근이 등장한다"며 "이 후보와 그의 측근, 막대한 개발이익을 나눈 업체들, 가히 이재명 패밀리가 저지른 '상습 배임 행위'는 국민 약탈, 국가 배신행위"라고 꼬집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