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시세 9억초과 아파트 15.7%⇒56.8% 급증

한 아파트단지 상가내 공인중개소 풍경 / ⓒ시사포커스DB
한 아파트단지 상가내 공인중개소 풍경 /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文정부 5년차 서울 아파트 절반이 9억 이상 ‘고가주택’인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국회 국토위 소속 김상훈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의 ‘2017년 6월부터 2021년 6월까지 서울아파트 매매 시세현황’을 분석한 결과, 서울 내 시세 9억 초과 아파트 비율이 文정부가 들어선 2017년 6월에는 15.7%였으나, 임기 후반부인 2021년 6월 현재 56.8%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시세 15억원을 넘는 초고가 아파트 또한 같은 기간 3.9%에서 22.4%로 확대됐다. 반면 무주택 서민용 보금자리 대출의 기준이 되는 6억 이하 비율은 67.1%에서 15.4%로 급감했다. 

문재인 정부 5년 간 실수요자가 접근 가능한 아파트보다 집값 상승으로 인해 ‘고가 및 초고가’ 주택이 훨씬 많아진 것이다.

정부 출범 초기인 2017년 6월 당시, 전체 25개 자치구 중 시세 9억 초과 비율이 10% 미만인 자치구는 17곳이었고, 특히 강동구, 강북구, 강서구, 관악구, 구로구, 노원구, 도봉구, 은평구 등은 9억 초과 비율이 1% 내외에 불과했다. 그러나 5년여가 지난 현재 9억 초과 비율이 10% 미만인 자치구는 중랑구 1곳에 불과했다.

강동구의 경우, 2017년 6월 시세 9억 초과 아파트가 0.3%에 불과했으나, 2021년 6월 현재 79.5%로 폭증했다. 이외 성동구(5.0%⇒89.6%), 마포구(7.5%⇒85.5%), 광진구(12.1%⇒89.4%), 동작구(2.0%⇒79.2%), 중구(2.5%⇒81.1%) 등 다른 자치구에서도 유사한 흐름이 나타났다.

이외 김상훈 의원은 “文정부 이전, 불과 5년여전만 해도 서울에서 서민대출만 받으면 내집마련이 가능했다”라고 지적하고, “현 정부의 실정으로 주거사다리가 완전히 망가졌다. 작금의 ‘고가주택으로 뒤덮힌 서울’은 두고두고 국민의 삶을 고단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