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선거철 다가왔나...남북 합작 평화쇼, 더이상 안속아"
김정은 "10월 통신선 복원...종전선언은 적대정책 철회조건"
이준석 "美, 비핵화 없는 종전에 우려...북핵 인정 결과 낳을수도"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사진 / ⓒ청와대(문재인), ⓒ뉴시스(김정은), 시사포커스DB
(왼쪽부터) 문재인 대통령,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사진 / ⓒ청와대(문재인), ⓒ뉴시스(김정은),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최근 문재인 대통령이 '종전선언'과 '남북정담회담' 추진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민의힘 대선주자인 홍준표 국민의힘 의원이 30일 "대선을 앞두고 또다시 종전선언을 내세워 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대선개입 쇼를 시작하고 있다"면서 "더이상 우리 국민들은 속지 않을 것"이라고 일침했다.

홍 의원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남북 합작 평화쇼가 또다시 시작되는 것을 보니 선거철이 다가왔나 보다"면서 "지난 2018년 2월 평창 올림픽 남북 합작 평화쇼가 시작되더니, 그 해 4월 문재인·김정은의 남북정상회담에 이어 6월 12일 북미 정상회담에서 미국까지 들러리 보증을 세워 국민들에게 통일과 평화의 환상을 심어 주어 지방선거를 편취했다"며 불편한 심경을 내비쳤다.

그러면서 그는 문 대통령을 겨냥 "더이상 이런 유치한 짓 말고 조용히 내려올 준비나 하시라"며 "우리 국민들은 두번이나 속는 바보가 아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이어 "한번 속으면 '속인 사람'이 '나쁜 놈'이고, 두번 속으면 '속힌 사람'이 '바보'고, 세번 속으면 '공범'이 된다"고 부연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21일(현지시각) 미국에서 열린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남북미 3자 또는 남북미중 4자가 모여 한반도에서의 전쟁이 종료되었음을 함께 선언하길 제안한다"며 '종전선언'의 추진 의사를 밝혔으며, 이어 23일 귀국길에서도 대통령 전용기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도 "다시 (북한과) 대화가 필요한 시점이 되었다"고 거듭 강조했었다.

이에 북한에서도 '종전선언'에 대해 환영의 뜻을 밝히면서 '남북정상회담'의 가능성을 열어 뒀는데, 이날(30일) 북한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국무위원장은 전날 열린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에서 "10월 초부터 관계 악화로 단절시켰던 북남통신연락선들을 다시 복원(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다.

다만 김 위원장은 미국을 향해 "그 표현 형태와 수법은 더욱 교활해지고 있다"며 "지금 미국이 외교적 관여와 전제조건 없는 대화를 주장하고 있지만 허울에 지나지 않으며, 역대 미행정부들이 추구해온 적대시정책의 연장에 불과하다"고 비난했다. 그러면서 그는 "북남관계가 회복되고 새로운 단계로 발전해 나가는가 아니면 계속 지금과 같은 악화상태가 지속되는가 하는 것은 남조선(남한) 당국의 태도 여하에 달려 있다"며 "종전을 선언하기에 앞서 서로에 대한 존중이 보장되고 타방에 대한 편견적인 시각과 불공정한 이중적인 태도, 적대시 관점과 정책들부터 먼저 철회돼야 한다는 것이 우리가 계속 밝히고 있는 불변한 요구"라는 조건을 내걸었다. 

즉, 김 위원장은 한국 측에 공을 넘기며 북한을 향한 적대정책을 철회시키고자 하는 의도가 깔린 것으로 보이는데 일각에서는 이러한 북한의 태도에 대해 한미동맹을 이간질하려는 속셈으로 보는 의심의 눈초리로 봤고, 이러한 의심이 커지는 이유는 북한이 최근 '신형 극초음속 미사일 시험 발사' 등 연이은 '북핵위협' 도발 행위를 전혀 멈추지 않고 있기에 '북한의 꼼수'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라고 관측했다.

한편 이날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미국 관계자들은 비핵화 없는 종전에 대해 상당한 우려를 표했다"며 "문 정부에서 현재 추진하고 북이 조건부로 화답하는 종전선언에 대해선 조심스러운 추진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대표는 "(북한이 말하는) '상호 존중'이라는 건 지금까지 북이 본인들의 핵 보유를 정당화하기 위해 본인들을 인정해달라는 취지로 사용해 온 용어"라면서 "'상호 존중이라는 전제가 깔린 남북정상회담 또는 종전선언'은 '북핵 인정'에 가까운 결과를 낳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문정부에서 잘 인식하고 대화에 임해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