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적격 판정 폐기되는 혈액마손실...개선되지 않고 매년 비슷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최근 4년 동안 269억 원어치의 혈액이 정량채혈 미달 등의 이유로 폐기된 것으로 확인됐다.
6일 국회 복지위 소속 강병원 의원에 따르면 매년 응고, 오염, 혈액선 검사 결과 이상 등으로 부적격 판정을 받아 폐기되는 혈액이 2017년 3만6,627unit, 2018년 3만6,477unit, 2019년 3만8,985unit로 매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또 2020년 3만4,295unit로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 중이다. 혈액 보관과정에서의 폐기량도 마찬가지인데 2017년 1,335unit, 2018년 1,189unit, 2019년 1,283unit, 2020년 1,002unit로 매년 비슷한 수준의 폐기량을 보이고 있다.
헌혈 수급 문제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특히,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그 어느 때보다 혈액 수급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민의 소중한 혈액이 적재적소에 사용되지 못한 채 버려지는 양만 최근 4년간(2017~2020) 52만1,510unit이다. 이는 이상 없는 혈액으로 의료기관에 출고된다고 가정할 때 농축적혈구 기준, 269억 원 가량(의료기관공급가 320ml기준)이다.
더불어 최근 5년간 혈액백 불량은 2017년 1,152개(142개 교환, 1,010개 변상), 2018년 863개(286개 교환, 577개 변상), 2019년 1,203개(260개 교환, 943개 변상), 2020년 2,130개(1,145개 교환, 985개 변상), 2021년 7월까지 1,573개(1,076개 교환, 497개 변상)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량이 나는 이유는 채혈 과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아 혈액을 사용할 수 없거나 정량채혈을 하지 못한 경우로, 채혈 중 혈액백, 성분채혈키트의 문제로 혈액이 오염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경우, 혈액 성분 제조시 혈액백 파손, 용혈・혼탁 및 오염 등이 발생한 경우다.
이에 강 의원은 “코로나19로 인한 거리두기와 비대면 확산으로 혈액 수급이 심각한 수준”이라며“어려운 상황에서도 헌혈에 참여해 준 국민의 선의가 헛되는 일은 없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