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회복세 빨라지면서 수요측면 물가상승압력 점차 커지는 것도 영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시사신문DB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24일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물가안정목표 운영상황 점검 설명회에서 “2019년 이후 0%대에 머물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금년 2월 1%를 웃돈 후 4월에는 2.3%, 5월에는 2.6%로 높아지며 물가안정목표인 2%를 상회했다”고 했다.

이어 “올해 들어 물가 오름세가 크게 확대된 것은 올해 초 한파와 조류인플루엔자 확산의 영향으로 농축산물가격이 급등한 데다 국제유가 상승세가 이어지는 가운데 지난해 상반기중 유가 급락에 따른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러한 공급측 요인에 더해 최근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수요측면의 물가상승압력이 점차 커지고 있는 점도 영향을 주었고, 개인서비스물가를 보면 금년 1~5월중 5개월간 1.8% 상승하였는데, 이는 지난해 연간 오름폭, 1.3%보다 높은 수준”이라고 했다.

또 이 총재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당분간 2% 내외에서 등락하다가 공급측 요인의 영향이 점차 줄어들면서 내년에는 물가안정목표 수준인 2% 이내에서 유지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수출과 투자가 호조를 지속하는 가운데 소비도 더욱 개선되는 등 우리 경제의 회복세가 뚜렷해지면서 수요측면에서의 물가상승압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점은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특히 이 총재는 “중기 시계에서 보면 인플레이션을 초래할 수 있는 요인 또한 적지 않게 잠재해 있는데 먼저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이 시행한 재정부양책과 대규모 유동성 공급이 빠른 경기회복과 맞물려 물가상승압력을 더욱 확대시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했다.

또 “노동이동의 제한 등으로 글로벌 공급망 회복이 지연될 경우 병목현상이 더 오래 지속될 수 있으며, 친환경경제로의 이행과정에서 국제원자재가격 상승세가 장기화될 수 있다”며 “이러한 요인들로 인해 높은 물가상승률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경우 경제주체들의 인플레이션 기대가 높아지면서 추가적인 물가상승을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