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친문 겨냥 “거대한 개혁과제, 갈등 수반할 수밖에 없어”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4·7보궐선거가 참패로 끝났음에도 친문의 목소리가 높아지는 더불어민주당 내부 분위기와 달리 여당 내 유력 대선잠룡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오히려 친문과 거리를 두려는 자세를 취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지사는 20일 서울 여의도 글래드 호텔에서 열린 ‘청소·경비 등 취약노동자 휴게시설 개선 정책토론회’ 참석 직후 기자들로부터 민주당 초선 의원 5인방에게 당 강성 지지층이 문자폭탄을 보낸 데 대해 질문을 받게 되자 “그들이 과잉 대표된 측면이 있고 과잉 반응하는 측면도 있다. 민주당 당원이 80만명, 일반당원이 300만명에 달한다는데 그 중 몇 명이나 되겠나”라며 “들은 바로는 (SNS) 1000개를 차단하면 (문자폭탄) 안 들어온다고 한다”고 답했다.

특히 이 지사는 강성 지지층의 행태를 꼬집어 “의견 표현 방식이 폭력적이거나 하면 옳지 않다”고 지적하기도 했는데, 그는 재보선 결과에 대해서도 “예상됐던 측면도 존재하지만 정말로 반성해야 될 지점 아닌가”라고 평하기도 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검찰개혁 등을 추진해야 한다는 주장이 당내 여전한 점을 꼬집은 듯 “거대한 개혁과제는 거대한 저항과 반발, 갈등을 수반할 수밖에 없고 성과내기도 쉽지 않다”며 “국민과 현장에서 사소하게 보일 수 있는 작은 일들에서 성과를 만들어내는 것이야 말로 티끌 모아 태산처럼 진짜 이 사회를 변화시키고 개혁하는 동력”이라고 발언해 당내 주류의 목소리와는 분명히 온도차를 보였다.

또 이 지사는 자신의 요청으로 같은 날 국회에서 윤호중 민주당 비상대책위원장과 이뤄진 면담 직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도 “실질적으로 국민들 삶에 도움 되는, 작더라도 민생 개혁을 열심히 해서 국민들 삶이 실제로 바꿀 수 있게 해야 한다”고 거듭 민생에 방점을 두는 입장을 내놨는데, 보선 참패로 정권 심판론이 작용한 상황 속에 친문처럼 민생과 직접적 연관성이 낮은 이른바 ‘개혁’에 힘을 싣기보다는 차기 대선주자로서 민생과 관련된 부분에 관심을 두는 전략으로 친문과 차별화에 나서겠다는 의미로 풀이되고 있다.

그래선지 같은 날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는 친문과 거리두기에 나선 이 지사의 태도를 꼬집어 자신의 SNS를 통해 “팽 당한 대깨문들, 김어준은 어쩌냐”라고 비꼬았는데, 다만 이 지사도 ‘뜨거운 감자’인 부동산 문제와 관련해선 이날 “문 대통령이 말한 것에 답이 있다. 문 대통령이 초창기 공공임대주택을 많이 공급하라, 부동산 감독기구를 만들어 감독하라고 말했는데 관료적 공직 집단에서 시행이 안 되고 있다”며 문 대통령에 힘을 싣는 모습을 보였고, 자신의 독자 백신 도입 발언 논란과 관련해서도 “방역정책은 당연히 정부 중심이 맞다. 임의로 백신 도입하겠단 취지가 아니다”라고 해명하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