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나 유엔식량농업기구(FAQ)에 따르면, 지난해 세계식량가격지수 연평균은 212로 전년(218) 대비 줄었고, 지난해 9월부터 국제곡물가는 하락세를 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9월 263이었던 곡물가격지수는 올해 1월 247까지 떨어졌다. 당분간은 이 같은 추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돼 식품업계의 주장은 일리가 없다는 지적이다.
제일제당의 지난해 실적도 좋았다.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제일제당의 매출은 4조 6712억원으로 전년(4조 4211억원) 대비 5.7% 상승했고, 영업이익은 2461억원으로 전년(1696억원) 대비 45.1% 증가했다. 제일제당 측은 “직전 사업년도 원가상승의 기저효과에 따른 손익구조 개선”이라고 전했지만, 2010년 제일제당의 매출액이 3조 9627억원, 영업이익이 2398억원이라는 점에서 단순 기저효과에 따른 결과라고 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식품업계가 줄줄이 가격인상에 나서자 일각에서는 담합의혹도 제기되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지난 18일부터 제일제당을 비롯해 롯데제과·해태제과·오리온·대상·사조·동서식품·풀무원·해표·남양유업 등 식품업체 10여곳을 대상으로 불공정거래행위 관련 직권조사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는 이들 업체의 생산현장을 방문해 대형마트와의 거래자료를 수집했다. 대형마트가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부당하게 가격 인하를 요구했는지 등 불공정거래행위 여부가 주요조사 내용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식품업체들이 최근 비슷한 인상폭으로 가격인상을 단행했고, 정부도 지난 21일 식품산업협의회를 열고 식품업체들에게 가격인상과 관련해 협조를 당부하는 등 압박을 가하고 있어 담합여부를 조사했을 수 있다는 시각도 나오고 있다.
CJ 제일제당 관계자는 “이번 공정위 조사는 유통업체와 불공정거래에서 압박을 받은 것이 있는지 없는지를 조사한 것일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가격담합은 사실이 아니라며 “지난 2~3년간 원가가 반영이 안 돼 식품업계가 힘들었다. 참다못해 이번에 가격인상을 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정권교체시기에 가격인상을 단행한 이유는 무엇이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정권교체와는 상관없는 일”이라며 “기업은 이윤추구를 해야 하는 데 그간 이익이 없었다. 감내할 수 있는 부분을 넘어 원가반영을 해달라고 인상한 것”이라고 거듭 강조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