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적 책임’ 이행에 앞장선다 vs 일부에선 김승연 회장 위해? 의혹제기

한화그룹이 비정규직 직원 2000여명을 정규직으로 일괄 전환한다. 국내 10대 기업 중 처음으로 행해지는 대규모 ‘정규직 전환’에 그 배경 및 파급효과를 둘러싸고 비상한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화는 지난 27일 “비정규직 직원 2000여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한다”며 “향후에도 이번에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동일한 직무에 대해 정규직으로 채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정규직 전환대상은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에 종사하는 계약직 직원. 프라자호텔과 한화리조트의 서비스인력, 갤러리아백화점의 판매사원 등이 이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정규직 전환대상으로 포함되는 직원은 계열사별로는 한화호텔&리조트 725명, 한화손해보험 533명, 한화63시티 209명, 한화갤러리아 166명이고, 직무별로는 서비스 564명, 고객상담사 500명, 사무지원 244명, 사무관리 205명, 직영시설관리 197명, 판매사원 153명 등 총 2043명이다.
한화는 계약직 직원들에 대한 소속사별 평가를 통해 전환 대상자를 확정하고 오는 3월 1일 정규직으로 전환할 계획이다. 또한 이번을 계기로 상시적이고 지속적인 직무에 근무할 직원을 계약직으로 고용했던 기존의 관행에서 탈피해 정규직으로 고용하는 것으로 전환, 지속적으로 비정규직 비율 감소를 이루기로 결정했다.
장일형 한화 경영기획실 사장은 이와 관련해 “이번 정규직 전환은 지난해 그룹 창립 60주년을 맞아 경제적, 사회적 책임을 성실히 이행해 나가는 과정”이라며 “종업원에게는 안정적인 회사 생활을 약속하고 고용안정을 통한 동기부여와 소속감 상승으로 직원들의 로열티를 끌어올리고, 회사는 서비스직군의 잦은 이직을 사전에 방지해 종업원의 만족도 향상을 통한 고객에 대한 차원 높은 서비스 제공과 생산성 향상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한화의 정규직 전환은 업계에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보인다. 비정규직 문제가 사회적 화두가 될 발판이 만들어져 다른 기업들도 한화의 정규직 전환 움직임에 동조하는 물꼬를 텄기 때문. 더욱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강조해왔기 때문에, 이번 한화의 정규직 전환을 기점으로 다른 대기업들에 대한 파급효과도 클 것이란 기대가 함께 나오고 있다.
한편, 업계 안팎에서는 한화의 이번 결정을 놓고 그 배경에 대해 의견 또한 분분하다. 한화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행의 일환으로 정규직 전환을 실시했다”고 밝혔지만, 일부에서는 새 정부 출범을 앞두고 이뤄졌다는 점을 들어 김승연 회장과의 관련성도 내세우고 있다. 횡령 및 배임 등으로 법정 구속된 김승연 회장의 조기석방에 도움을 주기위한 노력의 일환 아니냐는 지적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