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산림과학원, 시민 관측 자료 기반 예측…경기 남부 등 확산 추세

붉은등우단털파리. ⓒ국립산림과학원
붉은등우단털파리. ⓒ국립산림과학원

[시사신문 / 박상민 기자]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4일, 부식성 파리류 ‘붉은등우단털파리(일명 러브버그)’의 활동이 지난 1일 기준 약 86% 진행된 것으로 분석되며, 향후 7~10일 내 대부분 개체가 자연 소멸할 것으로 전망했다.

러브버그는 일본·중국·대만 등 동아시아에서 주로 관찰되며, 인체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는 없지만 대량 발생 시 불빛에 몰리는 특성으로 생활 불편을 초래한다. 6~7월에 주로 출현하며 꽃가루 매개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립산림과학원 산림병해충연구과는 시민과학 플랫폼의 관측 기록과 기상 자료를 종합해 활동 시점을 예측했으며, 올해는 첫 출현이 예년보다 약 일주일 늦어졌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활동 종료 시점도 늦춰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경기 남부와 중부 지역에서도 관측 사례가 늘면서 향후 분포 확산 가능성도 제기됐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관련 부처와 협력해 대응 방안을 마련하겠다”며 “정확한 예측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