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洪, 국정원장 공관 앞 공터에서 메모 썼다고 했지만 CCTV 보니 청사 사무실에 있었다”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13일 계엄 때 ‘정치인 등 체포대상 명단’ 내용이 담긴 홍장원 전 1차장의 메모에 대해 “메모에 대해 거짓이라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조 원장은 이날 오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8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홍 전 차장의 증언을 통해 공관 앞에서 처음 썼다는 얘기, 특히 보좌관에게 다시 쓰게 했다는 얘기를 처음 들어 헌법재판소 증언 이후 사실파악을 해봤는데 사실관계가 두 가지가 달랐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홍 전 차장이 오후 11시6분에 국정원장 공관 앞 어두운 공터에서 메모를 쓰게 돼서 주머니에서 메모지를 꺼내 급히 썼다고 했는데, 확인해보니 11시6분이면 홍 전 차장은 거기가 아니고 청사에 있는 본인 사무실에 있었다. 폐쇄회로 TV로 확인했다”며 “홍 차장은 본인이 작성한 메모와 보좌관이 작성한 메모 두 가지가 있다고 했는데, 보좌관에게 직접 물어보니 메모가 총 4가지 있는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앞서 홍 전 처장은 5차 변론기일인 지난 4일 헌재에 증인으로 출석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주요 인사 체포자 명단을 당시 국정원장 관사 입구 공터에서 주머니에 있던 메모지에 받아 적었고, 흘려 쓴 글씨체를 보좌관에게 시켜 정서로 옮겨 적게 시켰다고 증언한 바 있다.
이에 대해 조 원장은 “보좌관을 찾아 확인해보니 12월 3일 밤에 홍 차장이 사각 포스트잇에 쓴 메모를 줘서 정서를 한 것은 맞는데 그 다음날 오후에 다시 홍 차장이 같은 보좌관에게 ‘네가 기억나는 대로 해서 다시 한 번 써서 달라’고 했다고 한다”며 “보좌관은 갖고 있는 게 없어서 기억을 더듬어 메모를 썼다고 하니, 세 번째 메모가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그는 “보좌관 설명은 자기가 파란 펜으로 사람 이름만 썼고 동그라미를 친다든지 방첩사 등 메모는 가필하지 않았다고 한다. 12월 4일 늦은 오후에 보좌관 기억을 더듬어 새로 써진 게 이 메모인데 누군가가 가필해 놓은 게 지금 메모”라며 “첫 메모는 홍 전 차장이 찢어버렸다고 했고 나머지 두 번째 메모는 어디로 갔는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에 그치지 않고 조 원장은 “세 번째가 가필이 안 된 상태의 메모고 가필된 게 또 있는지에 대해선 정확히 알기 어렵지만 제가 파악해보니 네 가지 종류 메모가 있었다”며 “홍 전 차장이 중요한 일이라고 말해서 보니까 지난 화요일(5차 변론기일)에 구체적으로 설명했는데 내용 뼈대가 사실과 다른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지난해 12월6일 홍 전 차장의 사표를 반려한 사실이 있느냐’는 윤 대통령 측 질문에 “사실과 다르다. (홍 전 차장에게) ‘정무직 대 정무직으로 부탁한다. 있는 동안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부탁했다”며 “그렇게 얘기한 것이지 사표를 돌려준 적은 없다”고 말했는데, 반면 홍 전 차장은 지난해 12월 5일 조 원장으로부터 대통령의 즉시 경질 지시를 전달 받고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이튿날 조 원장이 사표를 반려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