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바로 1월 초부터 추경 얘기하는 것은 진정성에 대해 의심할 수밖에 없다”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5일 추가경정예산 관련해 “경제상황을 보고 예산이 필요한 부분이 어디에 있는지 점검해서 필요하면 즉시 추경할 생각”이라고 입장을 내놨다.
권 위원장은 이날 오전 경기 평택 고덕국제화계획지구 산업단지의 고덕변전소를 방문한 뒤 기자들과 만나 추경과 관련해 “우리도 준비는 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조건을 붙이지 말고 추가경정예산을 추진하자’는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제안에 대해선 “조건이 어떻게 붙는지 모르겠는데 저희도 추경을 생각하고 있지만 민주당이 지난해 예산을 엄청나게 깎지 않았나”라며 “바로 1월 초부터 추경 얘기하는 것은 민주당의 진정성에 대해 의심할 수밖에 없다”고 꼬집었다.
한 발 더 나아가 권 위원장은 반도체특별법과 국가전력망 확충법이 공전 중인 상황도 꼬집어 민주당을 겨냥 “국가전력망확충법 등 소위 에너지3법은 야당도 협력하는 것이, 과거에 집권했고 나름 집권을 준비하는 당이라면 필요한 부분”이라며 “협조 안 하고 발목 잡는 것은 의지가 없다고 보일 정도로 심각한 문제”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 뿐 아니라 그는 “반도체법 관련 주52시간 제한에 대해 그런 (적용 예외 반대) 입장을 얘기하는 것은 결국 민주노총 눈치를 보는 일”이라며 “그런 사람들은 국가의 미래 발전에 관심이 없다고 볼 수밖에 없다. 하루 빨리 반도체법을 포함해 에너지 3법에 대해 합의해서 빨리 통과되기를 기대한다”고 민주당에 촉구했다.
앞서 권 위원장은 이날 고덕변전소를 현장 방문해 가진 ‘AI 혁명을 위한 전력망 확충’ 간담회에서도 “AI 산업은 ‘전기 먹는 하마’로, 미·중은 AI 산업 발전을 위해 전력망을 확충하고 국가적 역량을 쏟아 붓고 있다. AI 반도체 생태계 구축 뿐 아니라 기술 발전 토대가 되는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데이터센터에도 막대한 전력이 필요하다”며 “우리는 AI 3대 강국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도 산업 핏줄이라 할 수 있는 전력망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국가기간전력망 특별법 처리 필요성을 역설한 바 있다.
한편 그는 개헌과 관련해선 “개인적 생각이라기보다 우리 당 입장에선 지금 헌법 자체가 87년 체제 이후 여러 가지 사회변화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 임기를 마치고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게 대통령 개인 문제라기보다 제도에 기인하는 바가 커서 우리 헌법에 손댈 것이 없는지, 또 헌법 전체에 손을 대개 될 경우 너무 많은 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굉장히 시간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어 정치체제 부분이라도 손댈 필요가 있다. 개헌특위를 만들어서 개헌에 대해 얘기를 시작하고 추진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