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인수 ‘마스크 착용 고수’로 金에 책임 물어…김문수 ‘일제시대 국적’ 발언 사과 거부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야당이 10일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선 황인수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 조사1국장의 마스크 착용을 문제 삼아 김광동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장을 퇴장시키고 환경노동위원회에선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의 퇴장을 요구했다.
국회 행안위에선 이날 오전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부른 황 조사1국장이 국감장에서 마스크 착용을 고수하자 야당 의원들을 중심으로 거센 비판의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는데, 더불어민주당 소속인 신정훈 행안위원장은 개의 직후 황 국장을 꼬집어 “기관 증인으로 출석한 증인이 자기 얼굴을 공개하지 않고 마스크를 쓰고 있어 신분을 확인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발언대에서 황 국장은 “저는 전 직장인 국가정보원에서 28년 동안 매국노를 찾아내고 처벌하는 일에 매진했다”고 말하자 이해식 민주당 의원은 “황 국장은 임용 전부터 문제가 있었다. 국정원에 몸담은 사람이고 국정원은 과거 폭력 주체였던 적이 있다”고 지적한 데 이어 “최초 문제 제기 됐던 것은 지난 6월 19일 행안위 (회의) 때로 마스크 쓰고 출석하는 게 과연 온당한 일인가에 대한 많은 문제제기가 있었는데 아직도 시정되지 않고 이 자리에 왔다. 국회를 우롱하고 있다”고 황 국장을 비판했다.
이에 황 국장은 “마스크 해제가, 제가 불이익을 당하지 않고 대한민국을 위해 도움 주신 분들에게 피해가 가지 않도록 국회 차원의 조치가 약속된다면 언제든 벗을 수 있다”고 말했는데, 그러자 이 의원은 “그럼 사임하라. 다른 일을 하라”고 목소리를 높였으며 신 위원장은 김광동 위원장을 향해 “(황 국장의) 얼굴이 이미 공개돼 있다. 황 국장이 평상시에 마스크를 착용하고 활동하느냐”고 질의했다.
김 위원장은 “평소에는 마스크 쓰고 활동하지 않는다. 언론에 공개되는 자리에서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을 이해해 달라는 의미”라고 답했으나 신 위원장은 “두 분 태도에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국회를 대하는 진정성이 느껴지지 않는다. 기관 증인으로 인정할 수 없고 선서도 받지 않겠다”며 황 국장과 김 위원장을 모두 회의장 밖으로 퇴장시켰다.
한편 같은 날 환노위 국감장에선 야당이 ‘일제시대 때 우리 국적은 일본이었다’는 김 장관의 인사청문회 당시 발언에 대해 사과를 요구했으나 김 장관은 “매우 가슴 아프지만 역사적인 기록에 대한민국 국적은 없다”며 “당시 우리나라와 맺은 조약 또는 일본의 법률, 조선총독부재령 어느 곳에서도 대한민국의 국적이라고 하는 부분은 없다. 이게 현실”이라고 발언했다.
그러면서 김 장관은 “의원님들은 ‘김문수가 민족정신이 없는 사람이 아니냐’고 우려하지만 그렇지 않다. 학교 다닐 때도 민족주의 때문에 제적당했다”며 “전문가들 말도 들어봤지만 이 문제에 의원님 모두를 만족시킬 답변을 드릴 능력은 없다. 이 문제는 매우 복잡한 문제이므로 차후 국회 차원에서 조사와 연구, 공청회를 진행해 결론을 내려준다면 거기에 따르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 장관의 인사조차 거부한 야당 의원들은 역사관이 명확하지 않다면서 민주당 소속인 안호영 환노위원장에게 김 장관의 퇴장을 요청했는데, 이 같은 김 장관에 대한 압박에 여당 소속인 국민의힘 김위상 의원은 야권을 겨냥 “해도 해도 너무한다. 오늘은 역사관을 국감하는 자리도 아니기 때문에 우리가 산적해 있는 노동 의제 가지고 얘기하고 정상적으로 국감이 이뤄질 수 있도록 했으면 한다”고 일침을 가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