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19 폐기 여부, 국방부 단독으로 처리할 수는 없어…보완할 게 있으면 할 것”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신원식 국방부장관 후보자가 15일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개인적으로 반드시 폐기되는 게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신 후보자는 이날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영내 육군회관에 마련된 후보자 사무실로 첫 출근하던 중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는데, 신 후보자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 2018년 체결된 9·19 남북군사합의에 대해 북한 전선지역 감시능력이 훼손됐다는 등 이유로 그간 폐기를 주장해왔다.
다만 그는 9·19 군사합의의 폐기 여부에 대해 “국방부장관이 되면 국방부 단독으로 결정할 수는 없다”며 “9·19 합의에 대한 군사적 취약성에 그간 군에서 여러 보완책을 냈는데 전반적으로 보고 추가적으로 보완할 게 있으면 최단시간 내 보완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신 후보자는 홍범도 장군 흉상 이전과 해군 홍범도함 함명 변경에 대해선 “장관으로 취임하게 되면 여러 의견을 듣고 충분히 검토한 후 방향을 국민들께 말씀드리겠다”며 신중한 자세를 취했고 전임 대통령 관련해 논란이 될 수 있는 본인의 과거 발언에 대해선 “청문회장에서 입장을 밝히겠다”고 말을 아꼈다.
이 뿐 아니라 해병대의 고 채 상병 순직사건과 관련해서도 “경찰에서 수사가 이뤄지고 있다. 국방부장관 후보자로서 입장을 밝히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답변했는데, 하지만 5·16과 12·12 군사쿠데타를 옹호했던 자신의 과거 발언에 대해선 “앞뒤가 편집돼 오해를 불러일으켰다. 대법원 확정 판결과 정부의 역사적 평가를 100% 수용한다”고 전날 밝힌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밖에도 그는 북한과 러시아 간 정상회담 이후 북·러 간 보이는 군사적 밀착 양상에 대해선 “북·러가 군사적으로 긴밀하면 북한의 첨단무기 개발에 상당한 영향을 주리라 본다”며 “그에 맞춰 우리 군의 전력 증강 방향을 보완하도록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신 후보자는 “장관이 된다면 국군 통수권자의 지침과 의도를 잘 헤아려 정예화된 선진 강군을 만드는데 주력하겠다”며 “우리 장병들이 올바른 국가관, 대적관의 군인정신으로 무장돼 군 본연의 임무에만 매진하는 군인다운 군인, 적과의 싸움에서 이길 수 있는 군대를 만드는데 성심을 다하겠다”고 천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