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정부, 책임 회피와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민심 둑 무너지기 직전”
“재발 방지 위해 수해 과정서 나타난 관재의 진상 밝히고 책임 물어야”
“장바구니 물가 들썩, 가만히 있다고 경제 안좋아져...추경편성 작업해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TV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12일 국회 본청에서 열린 당 최고위원회의에서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 / 시사포커스TV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1일 정부의 수해 대응과 관련해 “지금 SNS상에 무정부상태 해시태그가 유행이다. 그만큼 수해 대응 과정에서 정부·여당이 보여준 무능과 무책임으로 국민의 고통과 절망, 분노가 매우 높은 상황”이라면서 “관재(官災)의 진상을 밝혀야 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이 정부는 뼈저린 반성을 하기보다 책임 회피,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하고 있다”며 “심지어 오송 참사를 두고 김영환 충북지사가 ‘일찍 갔어야 바뀔 건 없었다, 한 두 명 사상자 있는 줄 알았다’는 이런 말들을 했다는데, 이는 ‘서울로 가도 상황을 바꿀 수 없다’라고 하던 대통령실의 발언과 똑같은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그는 정부·여당을 향해 “민심 둑 무너지기 직전이란 사실 대통령과 여당은 겸허하고 엄중하게 받아들이길 바란다”며 “공직자로서 최소한의 자격도, 양심도, 책임감도 없는 모습이라는 국민들의 질타를 뼈아프게 받아들여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더욱이 이 대표는 “같은 재난 반복하지 않기 위해서라도 이번 수해 과정에서 나타난 관재의 진상을 밝히고, 그 책임을 엄히 물어야 한다”고 촉구하면서 “그래야 다음에 이런 사태가 재발하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그는 “재정·예산은 모두 국민 세금인데, 초 부자에게 퍼주고 국민을 쥐어짜는 정책은 가렴주구 재정인 것”이라고 규정하면서 “수해 피해 복구와 민생경제 회생을 위해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작업에 나서야 한다”고 거듭 촉구하고 나서기도 했다.

특히 이 대표는 “장바구니 물가가 벌써 들썩이고 있다. 8월부터는 버스·지하철 요금 등 공공요금 폭탄도 예정돼 있다. 더군다나 아시아개발은행이 한국의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1.3%로 하향 전망했다”며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좋아질 것이라는 장밋빛 환상에 집착하다가 1% 방어도 힘들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그는 “가만히 있다고 (경제가) 좋아지지 않는다. 현장의 국민들은 너무 어렵다. 앞으로 미래도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이럴 때 정부가 나서야 한다. 지금이야말로 정부의 역할이 필요할 때”라면서 “신속한 추경으로 수해복구와 기후위기 대응, 민생경제 활력 회복, 미래 산업·경제 기반 확보라는 세 마리 토끼를 잡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