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이래경 부실 검증’ 책임론에 “무한책임 질 것”
김영진 “제대로 된 민주당 혁신을 만들어 가겠다는 성찰”
하태경 “이재명은 국민들 기만하는 데 선수, 말로만 책임”
“이재명 혁신의 본질은 반·비명 축출 쿠데타, 비명계 축출용”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천안함 자폭설’을 주장한 이래경 다른백년 명예이사장을 새로운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했다가 그의 과거 발언 논란으로 낙마하여 부실 인사검증에 대한 책임론이 일면서 리더십의 위기를 맞고 있는 가운데 ‘친명계 7인회’에 이름이 올랐던 당대표 정무조정실장을 맡고 있는 김영진 의원이 8일 “‘기승전 사퇴’로 모든 사안에 대해서 판단한다면 당 대표를 한 달에 한 번씩 뽑아야 된다”고 반박하면서 ‘이재명 퇴진론’에 선을 그었다.
김 의원은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하여 이 대표가 전날 이래경 이사장의 부실 검증 논란에 대해 ‘무한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표명한 것과 관련해 “혁신위원장을 추천하고 논의해서 결정했는데, 국민적 시각과 당내 여러 입장과 상황에 의해 사퇴하게 된 상황이 있기 때문에 결과론적으로 책임을 진다는 의미인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당내에서 비명계를 중심으로 이재명 대표의 사퇴를 촉구하는 것에 대해서도 “당대표의 임기가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저는 (이 대표가 무한책임을 지겠다고 말한 것은) 그 과정에서 조금 더 일을 잘하라고 하는 강한 채찍질로 보고 앞으로 ‘잘 준비해서 가겠다’는 그런 취지로 보고 있다”고 말해 사실상 이 대표의 당대표직 사퇴론을 일축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국민 평가와 판단, 당원들과 당내 국회의원들의 비판적인 의견들을 겸허하게 수용하고, 이후 혁신위원장과 혁신위원장이 이끌어나갈 혁신위가 제대로 된 민주당 혁신을 만들어 가는 그런 성찰적 반성과 책임”이라면서 “어제 (이 대표의) ‘무한책임’이라는 발언 자체가 사실은 유감보다는 더 높은 차원의 성찰과 유감 표명이었다”고 그 의미를 거듭 강조했다.
이어 그는 “최고책임자는 정치적 책임이든 이런 부분들에 관해서는 다 책임을 받는 게 맞다. 그 책임 이후의 과정은 어떻게 할 것인가는 별도로 잘 고민해서 새로운 대안과 미래를 만드는 것도 중요한 것”이라면서 “제가 당 대표 정무조정실장이기 때문에 그런 실무적인 부분들을 잘 보좌하고 반성하고 유감을 표명하고, 앞으로 그런 문제에 관해서 조금 더 진중하고 세밀하게 살펴보면서 하겠다는 의미가 다 포괄적으로 담겨 있는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김 의원은 이 대표가 민주당의 쇄신을 이끌 혁신위원장을 다시 뽑을 계획으로 현재 추천을 받고 있는 상황임을 알리기도 했는데, 그는 “(전날 상임위원단 간사 모임에서) 혁신위원장 추천이나 검증 이런 과정이 너무 비공개, 너무 숨어서 하는 게 아니냐 이런 의견이 있었다. 그래서 저는 ‘좋은 혁신위원장이 있으면 같이 지혜와 의견을 모아보자. 적극적으로 추천을 해서 우리가 이 혁신위원장을 만드는 데 같이 한번 해 보자’고 그런 취지로 말씀드렸다”고 전하기도 했다.
한편 하태경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하여 이 대표의 ‘무한책임’ 발언에 대해 “무한 책임은 사퇴할 때 쓰는 표현인데 (이 대표는) 그 말로 끝이다”며 “이 대표는 국민들을 기만하는 데 선수다. 행동으로는 사과도 없고 사퇴도 없고 아무것도 없다. 말은 무한책임인데 행동은 무책임인 것”이라고 비판하면서 사실상 이 대표가 사퇴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더 나아가 하 의원은 이 대표가 지향하는 민주당의 혁신기구과 관련해 “혁신위가 더 좋은 인사를 뽑는 걸로 나가야 하는데 친명·비명 간 비타협적 싸움으로 가고 있다. 그래서 (이 대표가 하려는) 혁신의 본질이 이재명의 반·비명 축출 쿠데타였던 것”이라며 “(그렇기에 이래경 이사장의 혁신위원장 낙마는) 친위 쿠데타 실패로 보인다. (이 대표가 이래경 위원장을 혁신위원장으로 임명했던 이유는) 비명계 축출을 위해 비명계 축출위원장으로 영입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꼬집기도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