禹 “구속 안 된 채 재판 임하게 해줘야”…金 “특권 없이 해보라는 민심 있어”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사법리스크에 대해 같은 당 우원식 의원과 김종민 의원이 9일 서로 온도차 있는 반응을 내놨다.
우 의원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해 “개인 비리라고 주장하는 검찰과 정부 입장이 있고 또 이건 야당 탄압이라고 하는 우리들의 생각이 있지 않나”라며 “그게 결국 재판을 거치면서 그런 것들이 상당히 갈음이 타질 텐데 재판을 제대로 치르게 하기 위해선 이 대표가 방어권을 제대로 가져야 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제대로 된 방어권을 가질 수 있도록, (이 대표가) 구속되지 않은 상태에서 재판에 임할 수 있고 당당하게 방어권을 가질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 민주당의 길이다, 민주당이 해야 될 일이다 등을 서로 논의하면서 방안을 찾아나가야 한다”며 자신이 소속된 당내 최대 의원모임인 ‘더좋은 미래’에서 전날 ‘당내 상황 및 향후 진로에 대한 입장문’을 낸 데 대해서도 “당내 갈등을 제대로 치유하자, 그리고 이 대표 중심으로 내부 단합이 우선이다, 이걸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뿐 아니라 우 의원은 “사실 지난번 (이 대표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가만히 살펴보면 이 대표만을 향한 소통 요구, 그렇게 되는 건데 이제는 그렇게 하지 말고 당내 전반에 걸쳐 각양각색의 소통이 필요하다는 걸 절감했다는 이야기이고 이 대표도 표결 전에 두루 의원들을 만나 의견수렴하고 입장을 듣기는 했는데 지금 와서 보니까 혼자만 그냥 뛰게 놔둔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이었다”며 “의총에서도 지금 결과를 예상할 만한 목소리가 사실 많지 않았는데 의총 때와 실제 표결 때가 달랐잖나. 이런 점들을 우려하고 또 그런 점들이 매우 부적절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는 “충분히 대화하고, 견해 차이가 있는 것은 좁혀야 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는데, 반면 김 의원은 같은 날 오전 KBS라디오 ‘최경영의 최강시사’에 나와 “막는 방법이 이 대표 개인의 사법 문제를 당 지도부와 당 조직 전체가 나서는 게 국민에게 설득력이 있겠는가. 국민이 보기에 정당하지 않다고 보니 그 점에 대해선 방법을 달리 찾아보자는 의견이 제일 큰 의견”이라고 온도차 있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김 의원은 “지지자들은 이 대표가 우리가 뽑은 당 대표니까 지켜야 한다는 게 당연한 건데 일반 국민이 보기엔 수사, 재판은 제대로 받아야 하는 것 아닌가, 특권 없이 한 번 해보라는 민심이 있는 게 사실”이라며 “제일 대표적인 게 방탄정당 문제를 어떻게 볼 것인가 하는 것이다. 방탄정당을 넘어서는 방법을 고민해 봐야 하고 이 대표가 당 대표 리더십을 발휘해야 할 때”라고 역설했다.
특히 그는 “시간이 얼마 안 남았다. 올해 상반기 안에 이 문제에 대해 어느 정도 정리가 안 되면 민주당은 ‘이재명 방탄 정당’, ‘이재명 사당’이란 국민의, 특히 중도층의 인식이 심어진다. 그러면 총선까지 회복하기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는데, 실제로 지난 5~7일 한국리서치가 KBS 의뢰로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남녀 1000명에게 실시한 이 대표 관련 수사 여론조사(95%신뢰수준±3.1%P,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에서 ‘정치보복 수사’란 답변은 40.7%에 그친 반면 ‘정당한 범죄수사’란 답변은 과반인 53.9%로 나왔고 이 대표 체포동의안 부결에 대해서도 ‘잘못된 결정’이란 답변이 과반인 52.1%로 나온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