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규백 “정당은 국민의 것이지만 정당 기반이 되고 발전시키는 주체는 당원”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 / 시사신문DB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 준비위원장이 28일 이재명 의원이 자신의 지지자인 개딸들을 만나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고 외친 데 대해 “유력주자로 꼽히는 당권주자였기 때문에 여러 해석을 낳았는데 당연한 대원칙”이라며 공감대를 표했다.

안 위원장은 이날 오전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민주사회에서 정당은 국민의 것이지만 정당이 기반이 되고 발전시키는 주체는 당원이다. 그래서 당원 뜻이 모여서 정당의 방향을 만들고 정당과 국민이 상호작용을 일으키면서 정치가 발전해나간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전당대회 경선 룰과 관련 “당장 1년 전만 하더라도 권리당원이 70만명이었다. 지금은 122만명을 넘어섰는데 이 급격하게 늘어난 우리 권리당원의 비중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며 “당의 대의원 제도는 역사성이나 취지에 고려할 때 전면적인 조정은 어렵고, 균형 있게 지금 대의원, 권리당원, 일반당원, 또 국민 여론조사 비중을 조절하려고 그렇게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도 안 위원장은 그간 친이재명계 측에서 요구해온 권리당원 비중을 많이 높이는 쪽으로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지 묻는 진행자의 질문엔 “많이 높아지기는 높이는데 지금 대의원 제도에 우리 당은 역사성 있는 정당이고 그 취지를 살려야 된다”며 “무조건 권리당원만 높이는 게 아니다. 단순히 권리당원 비율만 가지고 볼 게 아니다”라고 답했고 전대 룰을 수정하는 전준위 내 4개 분과에 이 의원 출마를 반대하는 친문계 인사가 없다는 지적에도 “분과위원장 조승래 의원 자체가 친명계가 아니지 않나”라고 반박했다.

아울러 그는 전당대회 룰을 당초 내달 11일에서 12일에 끝내겠다는 기존 일정에서 앞당겨 내달 3일 경선 룰 의결을 마무리하기로 한 데 대해선 “저희들이 지금 분과위원을 4개를 구성하고 있다. 당헌당규 분과위원회 홍보분과위원회 조직분과위원회 4개가 있는데 그것을 한거번에 다하는 게 아니고, 논의되고 거기서 확정된 것마다 발표하고 해서 마지막 날인 11일이나 12일 정도 전체를 마칠 생각”이라며 “왜냐하면 그 이후에 바로 등록 접수를 해야 하잖나. 그래서 그때까지는 다 끝내겠다는 구상을 갖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당 지도부 구성방식에 있어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한 번에 선출하는 집단지도체제를 97그룹(90년대 학번, 70년대생)에서 요구하고 있는 데 대해선 “우리 전준위 내에선 지금 (친이재명계 측이 요구하고 있는) 단일성 집단체제가 약간 우세한 것 같다”고 밝혔으며 한 발 더 나아가 97그룹에서 이 의원에게 전당대회 출마하지 말라고 촉구하는 데 대해서도 그는 “인위적 세대교체는 맞지 않고 저는 자기의 자력과 자강론을 키워서 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나오지 마라, 나와라 한 97세대한테 제가 드리는 조언”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 뿐 아니라 안 위원장은 40대 기수론에 대해 환영하지만 전대 룰을 통한 지원은 어렵다는 입장을 자신이 내놨던 데 대해서도 “전대룰은 우리 당의 역사를 위해 오늘날 시대정신을 가미해야 한다. 당권주자들은 그 눈을 위해서 당원과 국민에 설득과 이해를 구해야 하는 것이고 또 꿈과 비전이 있다면 당연히 당원과 국민께 지원하시는 것이지 룰로 지원한다고 해서 이게 안 한다고 되고, 안 된다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설명했으며 이 의원의 전대 출마로 분당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경고에 대해선 “이런 단어 자체가 나오는 게 매우 유감스럽고 나오지 않아야 한다. 왜 이런 얘기가 나오는지 이해할 수 없고 뼈아픈 당의 현실”이라고 꼬집었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