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아파트 전세 시세 1년 만에 1억 3,528만원 올라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와 중개사무소 모습 / ⓒ시사포커스DB
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와 중개사무소 모습 / ⓒ시사포커스DB

[시사신문 / 이청원 기자] 새 임대차법 시행 1년 만에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시세가 1억 3,528만원이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국토위 소속 김상훈 의원이 한국부동산원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7월 서울 아파트 평균 전세시세는 6억 2,402만원으로 새 임대차법 시행직전인 작년 7월 시세 4억 8,874만원에 비해 크게 올랐다.

새 임대차법 시행 1년 전인 2019년 7월에서 시행 직전인 작년 7월까지 4,092만원 오른 것에 비해 3배 이상 상승한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강남구 아파트 전세시세는 1년만에 2억 5,857만원이나 상승해 11억 3,065만원에 달했다. 이어 송파구 2억 1,781만원, 강동구 1억 9,101만원, 서초구 1억 7,873만원, 용산구 1억 5,990만원 순으로 상승했다.

송파구, 강동구, 용산구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 각각 5,205만원, 4,577만원, 2,925만원 상승한 것에 비해 4배 이상 오른 셈이다.

무엇보다 노원구는 2019년 7월부터 2020년 7월까지 상승분은 905만원에 불과했는데, 법 시행 1년 만에 8,078만원이나 올라 상승폭이 9배에 달했다.

관악구, 중랑구도 상승분이 각각 1,845만원, 817만원이었는데 법 시행 1년 간 각각 1억 3,642만원, 6,882만원이나 상승했다.

이에 김상훈 의원은 “여당이 날치기 처리한 새 임대차법 때문에 전세살이가 더욱 팍팍해지고 있다는 점이 통계로 증명되고 있음에도 정부는 자화자찬만 늘어놓고 있다”며, “정부‧여당의 대대적인 정책기조 전환이 없다면 전세 상승폭은 더욱 커지고 국민들은 더 큰 고통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