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항·동문시장·매일올레시장 공공와이파이 기기 고도화 통해

제주도는 4월부터 8월까지 동문시장과 매일올레시장에 와이파이 기반 사물인터넷서비스(IoT)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도는 4월부터 8월까지 동문시장과 매일올레시장에 와이파이 기반 사물인터넷서비스(IoT)가 가능하도록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사진/제주특별자치도

[제주 취재본부 / 문미선 기자] 제주도는 공공 와이파이 기반 시설을 활용한 사물인터넷서비스를 본격적으로 추진한다.

제주특별자치도는 4월부터 8월까지 제주를 대표하는 전통시장인 동문시장과 매일올레시장에 와이파이 기반 사물인터넷서비스(IoT)가 가능하도록 와이파이 기기 고도화를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라고 12일 밝혔다.

와이파이 기반 사물인터넷 시범서비스는 지금까지의 도내 전역 무료 인터넷 이용환경 마련을 위한 확대 위주의 공공와이파이 설치에서 벗어나 제주를 찾는 많은 관광객과 도민들이 주로 이용하는 장소를 시범지역으로 선정해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서비스이다.

제주도는 이에 따라 9월부터 제주공공와이파이 통합 앱(가칭 ‘Jeju Free Wifi ON’)내에서 목적지길안내서비스, 주차장여유면수서비스, 시장상가위치안내서비스 등 다양한 부가 앱을 실행시켜 이용할 수 있도록 안드로이드, IOS 모바일기기 환경에서 우선 서비스할 예정이다.

목적지길안내서비스는 폰에 설치된 내비게이션을 구동하지 않고도 바로 ‘카카오내비, T Map’과 연동된 전통시장 2개소의 길안내 내비게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주차장여유면수서비스를 통해 동문시장 주변 주차장 정보 및 주차여유면수를 확인해 쉽게 주차공간을 찾을 수 있다.

또한 상가위치안내서비스를 이용하면 상호별/품목별 상가 검색 및, 길안내를 받을 수 있는 등 1회 웹 접속으로 다양한 편의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제주도는 이번 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2024년까지 6,000개 설치를 목표로 추진 중인 공공와이파이사업과 병행한다.

올해 설치 목표인 공공와이파이 250개 중 전통시장과 공항에 설치된 일부를 초고속와이파이(와이파이6)로 교체·보강해 와이파이의 안정성과 서비스 품질을 향상시킬 계획이다.

 

저작권자 © 시사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