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도발에 꼬여진 사드 해법...韓美 속전속결 vs 中 '강한 불만'
북한 미사일 도발 사드 4기 추가 배치 빠른 전개...중국 불만 폭발
[시사신문 / 이선기 기자] 사드 임시 배치와 함께 정부는 핵잠수함 도입을 검토하는 등 북한을 압박하고 있는 모양새다. 하지만 중국의 반박도 매섭다.
송영무 국방방관은 지난달 31일 국회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사드 전면 배치를 건의할 뜻이 있느냐는 자유한국당 김학용 의원의 질의에 “문재인 대통령에게 사드 전면 배치를 건의했고, 그 조치를 하기 위해 국가안전보장회의에서 임시 배치하는 것으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특히 송 장관은 앞서 이지스 사업을 했던 경험을 토대로 사드 레이더 전자파에 대해서는 “큰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더불어 핵잠수함 도입에 대해서도 언급했는데 송 장관은 ‘핵잠수함 도입을 추진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검토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하며 “다만 핵무장 가능성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이처럼 국내에서 사드 임시 배치가 발빠르게 움직이자 미국도 빠르게 대응하고 나섰다.
AP통신에 따르면 1일(현지시각) 미 국방부 제프 데이비스 대변인은 “보류됐던 나머지 사드 발사대 4기를 신속하게 배치할 준비가 돼 있다”며 “사드 포대의 일부인 발사대 2기가 이미 한국으로 이동했고, 사드 포대는 몇 달 전부터 초기 요격 능력을 갖춰 왔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 모든 것이 한국 정부와 계속된 협의의 산물”이라고 했다. 또 사드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북한이 더 효과적으로 그 필요성을 입증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미 당국의 속전속결 사드 배치 조짐에 중국은 크게 반박하고 나섰다.
1일 신화통신에 따르면 한미간의 이 같은 움직임에 중국 정부는 주중 한국대사를 불러 공식 항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쿵쉬안유 중국 외교부 부장조리는 앞서 김장수 주중 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초치해 사드 배치 중단과 장비 철수를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