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현 “이재명 선거법 항소심, 대법원이 신속히 파기자판 해야”
“파기자판보다 ‘1심 유죄→2심 무죄’ 사례가 더 적어”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김기현 국민의힘 의원이 28일 항소심에서 무죄가 나온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선거법 위반 혐의 재판과 관련해 “대법원의 신속한 파기자판을 요청한다”고 입장을 내놨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지난 26일 이 대표에 대한 서울고법의 무죄 판결은 일반 국민의 보편적 상식에서는 무슨 말인지 해독할 수 없는 난수표였다”며 이같이 촉구했다.
그는 “사진을 확대하면 조작에 해당된다고 하는 주장을 어느 누가 납득할 수 있겠나”라며 “판결문이 마치 피고인 이재명의 변호인 의견서 같다. 이 대표 앞에만 서면 비틀어지고 쪼그라드는 사법 정의를 목도하며 나라의 법치가 조롱거리로 전락했다는 사실에 판사 출신 정치인으로서 깊은 자괴감이 든다”고 했다.
그러면서 “억지스럽고 기괴한 논리로 대한민국 사법부의 위상을 추락시킨 이번 판결은 그 의도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며 “최종심인 대법원만이 이번 항소심의 법리적 오류를 시정할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재판 결과가 복불복처럼 어떤 판사가 담당하느냐에 마치 널을 뛰듯 오락가락하는 현상이 비일비재해지고 있는데 이것은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대법원에서는 흔들리는 사법부 권위와 위상,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도 신속히 파기자판 해주실 것을 요청드린다. 대통령 선거 출마 자격과 관련된 사회적 논란이 매우 큰 만큼 파기 자판을 하는 게 원칙”이라고 역설했다.
‘파기자판’이란 상급심 재판부가 하급심 판단에 잘못이 있다고 볼 경우 원심을 파기, 사건을 돌려보내지 않고 스스로 직접 판결을 내리는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실제 판례가 드문데다 무죄를 유죄로 바꾸는 파기자판은 흔치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김 의원은 이 같은 지적에 대해 회견 뒤 기자들과 만나 “파기자판 하는 비율이 낮은 것은 사실이지만 1심에서 유죄 판결을 한 것을 특별한 사유 없이 2심에서 무죄로 바꾼 사례는 그보다 더 적다”고 반박했다.
그는 이어 “공직선거법 사건의 경우는 파기자판 하는 경우가 많이 있다”며 “신속하게 결론지어야 하는 게 입법 취지이기 때문에 6·3·3 원칙을 최대한 준수하기 위해서라도 당연히 그렇게 하는 게 맞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