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제철 찾은 국민의힘 “철강산업 지원 법안 발의할 것”

“철강산업, 국가기간산업인 만큼 국가 차원의 보호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

2025-03-06     김민규 기자
권성동 극민의힘 원내대표가 5일 경북 포항시 포스코 파크(Park)1538 홍보관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국민의힘이 5일 포스코 포항제철소를 방문해 “철강산업 지원 법안을 조속히 발의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권성동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경북 포스코 포항제철소에서 ‘철강 산업 위기 극복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열고 “대한민국의 철강산업은 제조업 생산의 6.7%, 수출의 5.6%를 차지하는 핵심 전략산업으로 국가기간산업인 만큼 국가 차원의 보호와 지원이 반드시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권 원내대표는 “산업부는 지난 1월 트럼프 행정부의 25% 관세 압박에 대해 ‘철강산업 경영력 강화 태스크포스’를 발족했다. 만약 미국이 수입산 철강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미국 내 철강 가격 상승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며 “트럼프 1기 행정부와 같이 관세를 협상 도구로 활용할 가능성도 높기 때문에 여전히 협상의 여지가 남아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산업부는 지난 2월 국내 철강 산업에 피해를 주는 중국산 철강산업 제품 후판에 최대 38%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며 “중국산 철강의 저가 공세에 대응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조치”라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급변하는 무역질서에 제도적으로 대응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기술력 신장이 중요하다”며 “저탄소 고부가가치 기술을 개발하고 미래 수요를 발굴해야 한다. 일본과 유럽연합처럼 탄소중립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 및 실증 상용 설비 투자를 제도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김상훈 정책위의장도 “대한민국 철강 산업 환경이 좋지 않다. 미국의 25% 관세가 본격 부과되기도 전인데 수출실적은 계속 하락하고 있다”며 “중국산 조강제 국내 (유입에) 관한 가공 수출과 외국인 근로자 문제 등 정부 측과 협의해 해결책을 제시하겠다”고 공언했다.

이날 간담회에 함께 한 이희근 포스코 대표이사는 “지금 우리나라 철강 산업은 글로벌 철강 경기 침체와 중국 철강 공급 과잉에 따른 잉여 물량 제품 유입, 탈탄소 전환, 트럼프 2기 출범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했다”며 “세계 각국은 자국의 철강 산업을 지키기 위해 각종 관세 장벽과 연구 투자비 지원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다. 이렇게 어려운 때일수록 기업과 국회, 정부 간 협력 체제가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