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정성호, 권성동 ‘개헌’ 요구에···“시선 돌리기, 尹탄핵 지연 전술”
권성동 “87년헌법체제 이후 잘했다 평가받은 대통령 거의 없어” 정성호 “느닷없이 이 상황에서 개헌 얘기하는 건 뜬금없는 얘기” 추미애 “尹 탄핵 협조 싫어서 보이콧 차원 개헌 꺼낸 건 잘못 돼”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친명계’(친이재명) 좌장으로 알려진 정성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19일 권성동 국민의힘 당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가 ‘개헌 논의’를 제안한 것에 대해 “느닷없이 이 상황에서 개헌 얘기하는 건 뜬금없는 얘기”라면서 “시선 돌리기”라고 비판했다.
정 의원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하여 권 원내대표의 ‘개헌 논의’ 요구에 대해 “지금 진행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수사 또는 탄핵 심판을 지연시키기 위한 전략적 차원의 제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다”고 강한 의구심을 내비치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어 그는 “(만약 윤 대통령의 탄핵이 헌법재판소에서 결정이 나오면) 파면 일부터 60일 안에 대통령 선거를 해야 한다”며 “그렇기에 그 안에 개헌이라고 하는 중차대한 문제가 결정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상황을 짚었다.
그러면서도 정 의원은 “다만 이번 대선 과정에서 87년 헌법 체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반성적 고찰이 있어야 되지 않겠나 싶다”고 개헌의 필요성에 공감을 표하면서 “조기 대선 과정에서 개헌을 충분히 논의할 수 있다고 본다. 여야 대선 후보들이 다 공약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진단했다.
더욱이 그는 검찰이 내란죄 관련 수사를 공수처에 이관한 것에 대해서도 불편한 심경을 내보이며 강한 의심을 이어나갔는데, 정 의원은 “공수처로 사건이 이첩되면 공수처는 처음부터 기록을 검토해야 한다. 그래서 수사 인력이 제한적인 만큼 시간이 더 소요된다”고 꼬집으면서 “공수처에서 혐의를 확인한 뒤 검찰로 사건을 다시 넘겨야 하므로 전체 수사 일정이 지연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사실상 윤 대통령 측에서 시간을 벌기 위한 전략적 선택인 것”이라고 비판했다.
앞서 권 원내대표는 전날 국회에서 이재명 대표와 만나 “좀 더 많은 국민들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고 상생과 협력을 할 수 있는 제도로의 변경이 필요한 시점”이라면서 “1987년 헌법 체제 이후에 일곱 번째 대통령을 맞이하고 있는데 제대로 잘했다는 평가를 받는 대통령이 거의 없었다”고 주장하며 개헌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지금이 헌법 개정에 나설 적기라고 피력했지만 민주당측에는 일제히 윤 대통령의 탄핵을 저지하기 위한 행보라는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다.
이뿐만 아니라 추미애 민주당 의원도 이날 SBS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 출연하여 권 원내대표의 개헌 논의 제안에 대해 “지금 탄핵에 협조하기 싫으니까 보이콧하는 차원에서 개헌을 꺼낸 건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대하면서 “개헌 필요성도 모두 공감하기 때문에 그건 빨리 탄핵을 하고 나면 별도로 개헌 논의를 하면 된다”고 결을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