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예방한 김상훈, 여야 협치 시동···“민생 위해 적대 끝내야”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 예방한 김상훈, 여야 협치 물꼬 트나? “진성준은 냉철하고 합리적인 분, 대화 될 분이라서 찾아 뵌 것” “합의 가능 법안은 합의 처리해 보자는 제안 해보려고 찾아뵌 것” “반도체특별법·전력망법, 진 의장도 법안 필요성 수긍하는 분위기”

2024-08-10     이혜영 기자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2일 당 정책위의장으로 내정된 뒤 국회에서 현안 관련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사진 / 이 훈 기자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9일 자신이 전날 진 정책위의장을 예방하게 된 배경에 대해 “여야가 계속 적대적인 상태로 너무 오래 가다 보니까 국민이 원하는 민생 현안이 뒤로 젖혀지는 그런 상태”라고 한탄하면서 “한번 합의 처리할 수 있는 법안은 한번 합의 처리해 보자는 제안을 해보려고 찾아뵌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정책위의장은 이날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출연하여 “진 의장은 굉장히 냉철하고 합리적인 분”이라면서 “대화가 될 분이라 생각을 해서 같은 정책위의장인 만큼 인사를 드려야 되겠다고 생각했다”고 설명하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문제를 둘러싸고 여야가 치열한 공방을 벌이고 있는 것과 관련해 “더불어민주당은 금투세에 대해 서로 입장에 이견이 조금 있는 상황이다. 이재명 전 대표는 어느 정도 긍정적인 메시지를 표시했고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부정적인 의견이 있는데, 이 건은 민주당 전당대회가 끝나면 당내 의견을 수렴해 보겠다고 진 정책위의장이 제게 답했다”고 알리면서 “국민의힘은 금투세 폐지가 당론이고 금투세 유예는 차선책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더욱이 김 정책위의장은 금투세 도입이 유예하는 방향으로 향할 수 있다는 전망의 목소리가 흘러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 “저도 재차 유예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는데, 그러나 그건 차선책”이라며 “왜냐하면 금투세는 결국 국내 1400만 주식 투자자 입장에서 부정적인 시그널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라고 진단해 사실상 금투세 폐지가 가장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피력한 셈이다.

아울러 그는 한 대표가 취약계층에게 전기료 1만5000원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것에 대해 “당의 입장은 정리된 게 맞다”며 “민주당의 입법 과정도 충분히 검토해 볼 여지는 있다. 그런데 민주당(에서 주장하는 전기료 감면에 대한) 입장에 동의는 하지만 법안을 통과시키기까지는 일정 기간이 소요된다. 그러면 여름 한 철이 다 간 시점에 법안이 타결될 가능성이 있어서 법률 입법 과정을 거치지 낳고 바로 지원할 방안을 찾은 것”이라고 설명해 야권을 설득하려고 애를 쓰는 모습도 보여줬다.

이뿐만 아니라 김 정책위의장은 국민의힘에서 당론으로 반도체 특별법·전력망법을 추진하는 것에 대해 “이건 진 의장도 전반적으로 법안의 필요성에 수긍하는 분위기였다”고 평가하면서 “경기도 용인에 대규모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성한다고 하는데, 그럴려면 국내 배송 전 시설 자체가 보강돼야 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더 나아가 그는 22대 국회에 들어서며 지금까지 국회에서 합의 처리된 법률안이 ‘0’(제로)건인 상황을 탈출하겠다는 강한 의지를 함께 보여주기도 했는데, 이와 관련해 김 정책위의장은 “민주당이 당론으로 발의한 법안 중 대·중소기업 상생협력법, 산업집적활성화법, 범죄 피해자 구제법 등은 우리 당도 이견 없이 받아들일 수 있겠다는 생각”이라면서 “또 국민의힘이 당론으로 발의한 법안 중 맞벌이 부부 육아휴직 기간 연장이나 돌봄 서비스 인력에 대한 안심 보증제도 도입, 임대주택 공급 확대 등의 법은 여야가 정쟁의 프레임을 벗어놓고 반나절만 이야기해도 합의가 가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한동훈 대표 체제가 들어서며 새롭게 선임된 김 정책위의장이 야권을 향한 협력의 자세로 여야 협치에 시동을 걸고 나서며 집권 여당의 면모를 보여주고 나선 행보라고 긍정 평가하는 목소리가 감지되고 있다고 관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