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성준, ‘화성 화재’ 사고에···“중대재해법 적용 사업장 철저 조사”

“22명 중 20명, 먼 이국땅에서 온 외국인 노동자라 더욱 안타까워” “화성 화재 사고 진상 규명과 후속 대책 마련 위해 적극 협력할 것” “정부, 피해 외국인과 유가족 원망 없도록 지원조치 만전 기해 달라” 민주, 민생위기 극복 특별조치법 ‘민생회복지원금’ 협조 거듭 촉구 “민생지원금과 부자 감세 기계적 양비론은 유감, 그래도 모순은 아냐”

2024-06-25     이혜영 기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0일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시스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이 25일 경기 화성시 리튬전지 제조 공장에서 전날 발생한 화재와 관련해 “화재가 난 공장이 올해부터 중대재해처벌법 적용 사업장이었던 만큼 회사 측이 안전 점검과 관리를 충분히 했는지에 대해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정부를 향해 진상규명과 후속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국회 본청에서 열린 민주당 원내대책회의에서 화성공장 화재에 대해 “어제(24일)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리튬전지 공장 화재 사건으로 노동자 22명이 소중한 목숨을 잃었고, 한 명은 아직도 실종 중인 상황인데, 참담하고 가슴 아픈 사고”라고 안타까워하면서 이같이 밝혔다.

앞서 전날(24일) 오전 10시30분경 화성시 서신면 전곡리 아리셀 공장 3동 2층에서 큰불이 나서 현장에서 일하던 근로자 22명이 숨지고 8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고가 발생했는데, 화재 현장은 업종 특성상 추가로 이어질 폭발 위험이 컸던 탓에 진화에 오랜 시간이 걸렸고 무엇보다도 실종자들이 일용직 및 외국인 노동자들이 종사하는 업장이라서 현장 수습 또한 오랜 시간이 걸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진 정책위의장은 “뜻하지 않게 목숨을 잃은 고인들의 명복을 빌고, 소중한 가족을 잃은 유가족께도 깊은 위로와 애도의 뜻을 전한다. (더군다나 소중한 생명을 잃은) 22명 중 20명이 먼 이국땅에서 와서 일하던 외국인 노동자라고 하니 더욱 안타깝다”며 “민주당도 사고의 진상규명과 후속 대책 마련에 적극 협력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러면서 그는 “어제 경기도가 리튬전지와 유해화학 사업장 등 에너지 첨단산업 현장에 대한 안점 점검을 하겠다고 말했는데, 중앙정부도 이런 재해가 반복되지 않도록 전국의 유사산업현장을 전면 조사하고 안전대책을 마련할 것을 요구한다”며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은 물론이고 피해 외국인과 유가족들이 원망스럽지 않도록 지원 조치에도 만전을 기울여 달라”고 촉구했다.

한편 진 정책위의장은 이날 회의에서 자신들이 발의했던 ‘민생위기 극복 특별조치법’의 추진 의지를 거듭 밝히면서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을 향해 협조를 요구하고 나선 모습도 함께 보여줬는데, 그는 “민주당의 민생회복지원금과 정부·여당의 부자감세론을 싸잡아서 비판하는 목소리가 일부에서 나오고 있는데 민생회복지원금과 부자 감세에 대한 기계적 양비론은 유감”이라고 표하면서 “세수결손을 비판하면서 민생회복지원금을 지급하자는 민주당이 모순적이라는 것인데 그렇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어 진 정책위의장은 “실제로 코로나 시기였던 지난 2020년에 우리나라는 1인당 25만 원의 긴급재난지원금을 전 국민에게 지급해 적극적인 재정 운용을 통해 주요 나라 가운데 가장 먼저 코로나 이전의 경제 수준으로 회복한 바 있다. 그렇기에 민생회복지원금은 소비와 내수를 살리자는 것으로 이를 통해 우리 경제가 살아나면 세수도 늘어날 것”이라고 주장하면서 “저출생 대책이나 기후위기 대응처럼 민생회복은 가장 절박한 시대적 요구이자 필수적인 재정 소요이고, 또 시기를 놓치면 백약이 무효”라고 피력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