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국민 목소리 더 경청하는 정부로 바꾸는 게 맞아”
“언론과의 소통을 더 자주 갖고 국민에 설명하는 기회 계속 가질 것”
[시사신문 / 김민규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9일 취임 2주년을 맞아 기자회견을 열고 “더 소통하는 정부, 또 민생에 관해 국민의 목소리를 더 경청하는 정부로 바꿔야 한다는 기조변화는 맞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윤 정부 2년 국민보고 및 기자회견’에서 기자들과 만나 “그동안 제가 미흡했던 부분들을 생각하고 부족한 부분이 뭐였는지 고민을 많이 했는데 결국 민생에 있어 아무리 노력했더라도 국민들께서 체감하는 변화가 많이 부족했다. 그리고 정부 정책과 국민들께 설명해드리고 소통하는 게 많이 부족했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총선은 정부에 대한 그간의 국정운영평가가 가장 중요하다고 하겠다. 제가 국정운영을 해온 것에 대해 국민들의 평가가 많이 부족했다는 게 담긴 거라고 생각하고 있다”며 “언론과의 소통을 더 자주 갖고 언론을 통해 또 국민들께 설명하고 이해시켜드리고 저희가 미흡한 부분을 부족한 부분도 솔직히 말씀드리는 이런 기회를 계속 가져야 되겠다고 생각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윤 대통령은 야당의 국정기조 전환 요구에 대해선 “시장경제와 민간주도 시스템으로 우리 경제 기조를 잡는 것은 헌법 원칙에 충실한 것”이라며 “그 기조는 일관성을 유지하고, 고쳐야 할 것들을 세심히 가려서 고칠 것은 고치고 일관성을 지킬 것은 지키고 이렇게 하겠다”고 입장을 내놨다.
특히 그는 “모든 수단을 강구해서 장바구니, 외식 물가 잡는데 역량을 총동원하겠다”고 공언했으며 반도체 기업에 대해선 “규제 풀고 속도감 있게 세제 지원을 추진하겠다”고 밝혔고 금융투자소득세와 관련해선 “폐지하지 않는다면 개인투자자가 타격 받고 자본시장이 무너진다. 우리 증시에서 엄청난 자금이 이탈될 것”이라고 폐지 의지를 재확인했다.
아울러 윤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전쟁과 관련해선 “저희는 공격용 살상무기는 어디에도 지원하지 않는다는 확고한 방침을 가지고 우크라이나 지원에 임하고 있다”면서도 북한이 러시아 측에 무기를 제공하고 있다는 의혹을 꼬집어 “북한의 공격용 무기 수출이라는 것은 우크라이나 전쟁 관련해 불법적 전쟁수행을 지원한다는 측면도 있지만 유엔 안보리의 북핵 관련 대북제재 결의에도 명백히 위반이어서 저희들이 국제사회를 통해 필요한 대응을 하고 있다”고 역설했다.
그러면서도 그는 러시아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오랜 세월 우리와 좋은 관계를 맺어온 국가로 사안별로 협력할 것은 협력하고 또 입장 차이에 따라 우리가 반대하거나 경계할 것은 그렇게 하면서 러시아 관계를 가급적 원만하게, 경제협력과 공동의 이익은 함께 추구해나가는 관계로 잘 관리해 나갈 것”이라고 밝히는 한편 오는 11월 미국 대선에 출마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한국 방위 필요성에 부정적 입장을 내놓은 데 대해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한미동맹에 관해 미국 조야, 양당, 상하원, 행정부의 강력한 지지가 있다는 말씀을 드리고 한미의 이런 탄탄한 동맹관계는 변치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원론적 답변을 내놨다.
또 윤 대통령은 한일관계에 대해선 “과거사가 걸림돌이 될 수는 있지만 확고한 목표 지향성을 가지고 인내할 것은 인내하면서 방향을 가야 된다. 우리 미래를 위해, 구체적으로는 북핵 대응을 위해, 또 양국의 경제협력을 위해서 인태지역과 글로벌사회에서 양국의 어떤 공동아젠다에 대한 리더십 확보를 위해 협력해야 된다”며 “저와 기시다 일본 총리는 서로에 대해 이제 충분히 신뢰하고 양국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마음의 자세와 그런 게 충분히 있다는 것을 서로 잘 알고 있다”고 기존 입장을 고수하는 모습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