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10주기에···與 “정치·논쟁 안돼” vs 野 “이태원특별법 추진”
국힘 “안전 중요성 되새기기 위해 ‘국민안전의 날’로 정한 것” “안전은 국가 책무, 여전히 크고 작은 사고로 위협받고 있어” “정부·여당, 이런 참사 다신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역량 쏟을 것” 민주 “이태원특별법 5월 처리, 재난 예방·대응 시스템 재정비 추진”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4·16 세월호 참사가 10주기를 맞은 가운데 국민의힘이 16일 “지난 10년은 국민 모두에게 고통과 아픔으로 가슴 먹먹하게 만든 시간이었다”면서도 “국민의 생명을 지키는 ‘안전’ 만큼은 정치화해서도, 논쟁거리가 돼서도 안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희용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세월호 참사 이후 어느덧 열 번째 봄을 맞이했는데, 꽃다운 나이에 스러져간 어린 생명들을 비롯한 사고 희생자 304명의 명복을 빌며, 여전히 슬픔의 무게를 지니고 있을 유가족과 생존자분들께도 깊은 위로의 말씀을 전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 수석대변인은 “안전에 대해 국민들은 이전보다 더욱 경각심을 갖게 됐고, 우리 사회 곳곳에 존재하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들의 개선을 위한 법안을 마련하고 시스템 개선 등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고 설명하면서 “그렇기에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고 기억하며, 안전 문제에 있어 그 중요성을 되새기기 위해 오늘을 ‘국민안전의 날’로 정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그는 “하지만 10년이 지난 지금 ‘대한민국이 그때보다 더 안전해졌는가’라는 물음에 선뜻 대답하기 어려운 것 또한 지금의 현실”이라고 꼬집으면서 “여전히 크고 작은 사고로 국민들의 소중한 생명이 위협받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정 수석대변인은 “국민의 안전한 삶은 국가의 가장 중요한 가치이며, 국민 생명 보호와 안전은 국가의 가장 기본적인 책무”라고 피력하면서 “국민의힘과 정부는 앞으로도 각종 재난과 안전사고에 관한 제도 재검토 및 안전사고 재발 방지를 위한 시스템 정착, 그동안 쌓여온 구조적 문제점 개선을 통해 이런 참사가 다시는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역량을 쏟겠다”고 약속했다.
더 나아가 그는 “아이들이 안심하고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나라, 근로자들이 사고 걱정 없이 일할 수 있는 ‘안전 대한민국’을 만드는 것은 여·야를 넘어 정치권이 함께 고민하고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진단하면서 “국민의힘이 더 먼저, 더 많이 일하겠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반면 야권인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세월호 참사 10주기와 관련해 국가의 책임을 강조하면서 21대 국회에서 ‘이태원 참사 특별법’ 처리 통과를 다짐하고 나선 분위기였는데, 실제로 한민수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304명의 소중한 생명을 잃은 가족 앞에서 국가는 책임을 다했는지 돌아본다”면서 “참사의 진실과 책임 규명을 통해 사회적 재난에 대한 예방 및 대응 시스템 재정비를 추진하겠다”며 이태원참사특별법의 5월 처리 필요성을 언급했다.
아울러 한 대변인은 “올해도 세월호 참사 유가족께서 거리에서 ‘세월호 참사 온전한 진실! 완전한 책임!’이란 구호를 외치고 계신다. 그분들 곁을 159명의 젊은이를 거리에서 하늘로 떠나보낸 이태원 참사 유가족분들이 지키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이면서 정부를 향해 “각기 다른 사회적 재난 및 참사의 피해자·유가족분들이 서로의 아픔을 부둥켜안고 버티는 동안 국가는 과연 무얼 했느냐”고 따져 묻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