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명’ 윤영찬, 대의원 권한 축소 반발 “친명계 당권 장악 의도”
“총선 앞두고 왜 지금 이 문제 결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어” “대의원제 약화 문제, 당의 차기 권력 문제와 관련 돼 있어” “가장 큰 문제는 팬덤 정치, 이재명 지지 안하면 적으로 규정” “팬덤은 총선에도 악영향, 당 입지 계속 축소시킬 수밖에 없어”
[시사신문 / 이혜영 기자] 대표적인 비명계(비이재명)로 분류되고 있는 ‘원칙과 상식’ 모임의 윤영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8일 친명계 중심의 당 지도부가 내년 8월에 열리는 전당대회에서 대의원의 권한을 줄이고 권리당원의 비중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당헌·당규 개정안을 의결한 것에 대해 “지금 결정해놓는다는 것은 내년 전대 때 유리한 고지를 점령하겠다는 것”이라고 해석하면서 친명계의 당권 장악 의도라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에 출연하여 “왜 굳이 지금 총선을 앞두고 이 문제를 결정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씁쓸해하면서 “누구도 납득을 할 수 없기 때문에 그것 밖에 해석할 여지가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그는 “투표 비중을 결정하는 문제는 정당에 굉장히 중요한 문제”라고 꼽으면서 “그런데 아무런 토론이 없었고, 중앙위원회에서 온라인으로 결정하겠다는 것도 사실 굉장히 이해할 수 없는 절차이기에 납득을 할 수 없는 것”이라고 날을 세웠다.
더욱이 윤 의원은 “대의원제를 약화시키는 문제는 (이재명 대표 체제) 이후의 권력, 차기 권력의 문제와도 관련되어 있다”고 상황을 짚으면서 “지금 민주당의 가장 큰 문제는 팬덤 정치, 이재명 대표를 지지하지 않는 사람을 적으로 규정하는 것”이라고 불편한 심경을 토로하고 나섰다.
이어 그는 “당내 다양성을 보장하여 중도층까지 포용할 수 있는 정당으로 전환해야 하는 것”이라면서 “그런데 팬덤 정치는 우리 당의 입지를 계속 축소·협소화시킬 수밖에 없기 때문에 총선 전망까지도 굉장히 어두워지는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심지어 윤 의원은 “최근 당 안팎에서 터져 나온 ‘막말’ 논란 역시 이 팬덤 정치에서 기인한다”며 “이런 말실수가 어디서 나오나 보면 당원끼리의 모임이나 친민주당 유튜버들이 있는 이런 곳에 가서 문제 발언을 한다. 분위기에 편승해서 한마디씩 던지다 보면 결국 국민 정서와는 전혀 부합할 수 없는 민심과 괴리된 언어나 용어를 쓸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더 나아가 그는 이낙연계의 원외 인사들이 ‘용산 전체주의와 개딸 전체주의를 거부한다’며 신당 창당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것에 대해서도 “아무래도 지금 양당이 보여주고 있는 모습 자체가 너무나 민주주의 원칙과는 거리가 멀기 때문에 염증을 내고 있는 것”이라면서 “실망한 분들이 ‘제3세력을 만들어야 된다’는 이런 움직임은 충분히 이해한다. 본인들의 의사를 표출하고 있는 것이기에 그걸 뭐라고 할 수는 없는 것”이라고 말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